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명 사망 추락 헬기' 산불 진화용인데…왜 송전탑 공사 투입됐나

'2명 사망 추락 헬기' 산불 진화용인데…왜 송전탑 공사 투입됐나
오늘(15일) 강원 영월 산 중턱에서 추락해 조종사 등 2명이 사망한 AS350B2 기종의 민간 헬기는 산불 진화용으로 강원도에 임차됐으나 최근 송전탑 공사에 투입됐다가 사고가 났습니다.

사고 헬기는 오늘 오전 7시 46분쯤 영월군 북면 공기리 마을회관 인근 산 중턱으로 추락해 기장 A(65) 씨와 화물 운반 업체 관계자 B(51) 씨가 숨졌습니다.

이 헬기는 강원도가 올해 봄과 가을철 산불 진화용으로 임차한 9대 중 1대입니다.

산불 조심 기간 춘천과 홍천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진화 등의 용도로 계약됐습니다.

올해뿐만 아니라 수년간 이 지역에서 산불 진화 등에 투입된 헬기로 알려졌습니다.

담수 용량 910L(리터)급 소형 헬기로 1995년 제작돼 기령(비행기 사용 연수)은 28년입니다.

도는 올해 2월 1일부터 5월 15일, 11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산불 조심 기간에 계약해 운용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오늘은 송전탑 보수 공사에 투입됐다가 사고가 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고 현장에 설치된 송전탑 전선 피복 일부가 벗겨진 모습

문제는 산불 진화용 임차 헬기가 왜 다른 지역의 송전탑 보수공사에 투입됐는지가 의문입니다.

강원도는 지난 9일 헬기 업체 측에서 사고 헬기 대신 5천 L급 대형 헬기를 대체 투입 후 사고 헬기를 회수했다고 밝혔습니다.

도 관계자는 "해당 업체 측에서 '정비를 위해 헬기를 회수하는 대신 다른 헬기를 대체 투입해 주겠다'고 연락해 왔다"며 "대체 헬기가 왔기 때문에 임차 계약상 문제는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해당 업체 역시 사고 헬기를 회수한 뒤 송전탑 보수 공사에 투입했다고 확인했습니다.

다만 사고 헬기 회수 이유에 대해서는 강원도와 해당 업체의 입장이 엇갈립니다.

업체 관계자는 "송전탑 보수에 필요한 화물 운반에 소형 헬기가 적합하다고 판단해 강원도에는 대체 헬기를 보내주고 해당 헬기는 송전탑 보수 공사에 투입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정비·점검을 위한 회수는 아니다"라며 "송전탑 보수 공사 투입된 경위 등을 파악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강원도는 올해 임차 헬기 9대를 75억 600만 원에 계약해 산불 진화 임차 헬기로 운용 중입니다.

대당 계약가는 임차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6억∼7억 원입니다.

(사진=독자 제공, 강원도소방본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