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도권에 300조 투입해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만든다

수도권에 300조 투입해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만든다
▲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 보고하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부가 2042년까지 수도권에 300조 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유치해 세계 최대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합니다.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인 경기 기흥, 화성, 평택, 이천과 연결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만든다는 구상입니다.

동시에 핵심 인재 양성과 투자 유인 강화를 통해 이를 뒷받침할 초격차 기술력 확보에도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15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하는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국가 첨단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산업부는 ▲ 초격차 기술력 확보 ▲ 혁신 인재 양성 ▲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 ▲ 튼튼한 생태계 구축 ▲ 투자특국(投資特國) ▲ 통상역량 강화를 6대 국가 총력 지원과제로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2042년까지 300조 원의 대규모 신규 민간 투자를 바탕으로 단일 단지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경기도에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클러스터에는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팹) 5개를 구축하고 국내외 우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및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을 포함해 최대 150개 기업을 유치한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조성된 신규 클러스터를 기흥·화성·평택·이천 지역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와 인근 소부장 기업, 판교 팹리스 밸리와 연계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복안입니다.

메모리,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팹리스, 소부장을 아우르는 반도체 전 분야 밸류체인과 우수 인재를 한곳에 모아 글로벌 반도체 클러스터의 선도 모델로 자리 잡게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클러스터 안에서 기업과 연구소, 대학 간 공동 기술 개발과 실증사업을 수행하는 한편 우리 팹리스 기업이 개발한 반도체 생산을 지원해 반도체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사진=용인시 제공, 연합뉴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반도체용 4나노 공정, 차량·가전 반도체용 공정 개방을 확대하고, 우수한 팹리스의 시제품 제작·양산을 집중 지원해 매출 1조 원 규모 팹리스 기업 10곳을 육성한다는 목표입니다.

또 2030년까지 3조 2천억 원 규모의 전력·차량용·AI 등 차세대 유망 반도체 핵심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미세공정 한계 보완을 위해 첨단 패키징 분야에 24조 원의 생산·연구거점 투자와 3천600억 원 규모의 정부 기술개발 지원을 단행합니다.

이 외에도 올해 안으로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소부장 특화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첨단산업단지 조성과 함께 연구개발(R&D) 지원, 인재 양성을 추진해 첨단산업의 초격차 기술력 확보를 뒷받침한다는 계획입니다.

벨기에 반도체 연구·인력양성 센터 imec(아이멕)처럼 최첨단 연구설비를 갖춘 '한국형 imec'를 구축해 첨단기술을 연구·교육·실증할 수 있는 혁신 공간을 마련하고, 양자·AI 등 12대 국가전략기술 R&D 지원에 5년간 25조 원의 예산을 투입합니다.
반도체 공정 (사진=인천시 제공, 연합뉴스)

최첨단 기술과 설비를 갖춘 핵심 생산시설은 국내에,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한 양산 공장은 해외에 조성하는 '마더팩토리' 전략을 추진해 보다 튼튼한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투자하기 좋은 '투자특국'을 만든다는 목표로 조세특례제한법을 조속히 개정해 투자세액공제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인허가 소요 기간을 60일로 제한하는 '인허가 타임아웃제'도 도입합니다.

싱가포르 테마섹이나 아랍에미리트(UAE) 무바달라처럼 국내외 중장기 전략 투자를 책임질 국가투자지주회사를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합니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반도체(340조 원), 디스플레이(62조 원), 이차전지(39조 원), 바이오(13조 원), 미래차(95조 원), 로봇(1조 7천억 원) 등 6개 첨단산업에서 2026년까지 550조 원 규모의 민간 주도 투자를 이끌어낸다는 목표입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