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외교부 고위당국자 "피고 기업, 미래기금엔 참여 예상"

외교부 고위당국자 "피고 기업, 미래기금엔 참여 예상"
▲ 발언하는 조현동 외교1차관

정부가 한일 경제계가 논의하고 있는 가칭 미래기금과 관련해 강제동원 배상 판결의 피고 기업인 미쓰비시와 일본제철이 참가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오늘(10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외신기자클럽 브리핑에 참석해 "이번 (강제동원) 해법은 대한민국의 높아진 국격과 국력에 걸맞는 대승적 결단이자 우리의 주도적 해결 방안"이라고 말했습니다.

조 차관은 피고 기업의 사과와 배상이 빠진 점을 비롯해 정부 안의 미흡한 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대해서는 "유념하면서 해법 이행 과정에서 피해자와 유족의 의견에 더 귀를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후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소위 양국 경제계에서 논의되고 있다는 가칭 미래기금에 대해서는 피고기업의 참여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 재단에 대한 참여는 당장 단기간 내 기여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전망했습니다.

이 고위 당국자는 다만 재단 참여의 "문이 열려 있다"면서 "한일 관계가 진전됨으로써 열려있는 문을 통해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은 닫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 기대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간 알려진 대로 피고 기업들이 강제동원 배상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기금을 출연을 하지 않고 다른 사안에 우회적으로 돈을 내는 방안에 무게를 싣는 발언으로 풀이됩니다.

이 당국자는 지난 6일 외교부가 해법을 발표한 이후 국내 여론의 평가가 좋지 않고 한일 재계의 미래기금 조성에도 냉소적인 반응이 있다는 외신 기자의 질문에 대해선 "의견이 다르다"면서 "그 정도로 비관적으로 보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실제 재단을 통해 판결금을 수령할 것으로 예상되는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예측 숫자가 나오고 있는데 시민단체에서 말씀하신 숫자보다는 많이 지급에 동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피해자 측 대리인은 전체 원고 15명 가운데 4명이 판결금 수령에 동의하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