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분양 7만 5천 가구 넘어…10년 2개월 만의 최대치

미분양 7만 5천 가구 넘어…10년 2개월 만의 최대치
지난달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한 달 만에 10%가량 늘어 7만 5천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모두 7만 5천359호로 전월의 6만 8천148호보다 10.6%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12년 11월 7만 6천319호 이후 10년 2개월 만의 최대치입니다.

다만, 지난해 11∼12월 두 달간 미분양 주택이 1만 호씩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 폭은 다소 둔화했습니다.

미분양 물량의 84%는 지방에 집중돼 있습니다.

지난달 수도권 미분양은 1만 2천257호로 10.7%, 1천181호 늘었고, 지방은 6만 3천102호로 10.6%, 6천30호 증가했습니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이 전달보다 25.9% 증가한 8천926호였고, 85㎡ 이하 미분양은 6만 6천433호로 전월 대비 8.8% 늘었습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천546호로 전월보다 0.4%, 28호 증가했습니다.

정부는 현재 미분양 상황에 대해 정부가 개입할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1월 미분양이 늘어난 지역은 외곽이거나, 분양가가 인근 시세보다 높았던 곳이 주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특히 1월 미분양은 지난해 4분기 분양 물량이 늘어난 데 따른 영향을 상당 부분 받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분양 물량은 지난해 2분기 5만 1천 호, 3분기 7만 2천 호, 4분기엔 9만 9천 호로 늘면서 미분양 신고가 늘었다는 분석입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준공 후 미분양은 한 달간 28호 증가한 수준이고, 지난해 미분양이 급증한 대구에서도 1월 미분양은 120호 증가했다"며 "현재 상황만으로 미분양이 심각하다고 속단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원희룡 국토부 장관도 "현재 미분양은 건설사의 가격 할인 등 자구 노력으로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는 일시적인 마찰성 미분양이라고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원 장관은 준공 후 미분양도 장기 평균의 4분의 1 수준이라 정부가 개입할 정도는 아니라면서, 건설업계가 요구하는 미분양 주택 매입 계획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1월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2만 5천761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8.2% 줄었습니다.

수도권 주택 매매량이 1만 299건으로 작년 동기보다 36.5% 감소했고, 지방은 1만 5천462건으로 39.4% 줄었습니다.

서울 주택 매매량은 지난달 2천64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3% 감소했습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매매량이 1만 7천841건으로 작년 동월 대비 27.1% 줄었습니다.

아파트 외 주택 거래량은 7천920건으로 54.1% 감소했습니다.

다만, 서울 아파트 월별 거래량은 두 달 연속 전월 대비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단 761건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 최저치였는데, 12월 1천1건으로 올라섰고 올해 1월엔 1천161건으로 늘었습니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은 모두 21만 4천798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0% 증가했습니다.

전세 거래량이 9만 7천577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3% 줄었지만 월세 거래량이 11만 7천221건으로 25.8%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4.6%까지 높아졌습니다.

월세 비중은 2020년 1월엔 38.3%였는데 불과 3년 만에 16.3%포인트 늘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