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괭이갈매기 무인도 번식지에 낚싯바늘…어디서 왔는지 보니

괭이갈매기 무인도 번식지에 낚싯바늘…어디서 왔는지 보니
항구와 양어장 등에서 발생하는 해양쓰레기가 괭이갈매기 번식 환경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환경연구원 이후승 연구위원 등이 지난해 국제학술지 해양오염학회지에 기고한 '괭이갈매기 번식지의 해양쓰레기 오염과 서식 패턴' 논문을 보면, 2020년 4∼7월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에서 해양 쓰레기 82점이 발견됐습니다.

발견된 쓰레기의 길이는 2∼1천841㎜, 무게는 0.1∼2천109.1㎎까지 다양했지만 소재에서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66점으로 전체의 80.5%를 차지했습니다.

나머지 16점은 금속 쓰레기였습니다.

낚시용품이 61점, 74.4%으로 많았고 이 중에는 낚싯줄이 23점, 낚싯바늘 15점이 있었습니다.

이 해양쓰레기들이 어디에서 유입됐는지 알기 위해 연구진은 괭이갈매기 5마리에게 위치추적 장치를 붙여 해양쓰레기 출처를 추적했습니다.

'갈매기섬'으로도 불리는 태안 난도의 괭이갈매기 번식지는 1982년부터 천연기념물로 지정, 관리·학술 목적 외에는 출입할 수 없어 사람이 버린 쓰레기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수집한 위치정보를 분석한 결과 괭이갈매기들은 모두 항구와 양어장 근처를 반복적으로 오가면서 먹이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 4∼7월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에서 발견한 해양쓰레기 (사진=논문 캡처, 연합뉴스)

이는 항구와 양어장에 널브러져 있던 그물이 괭이갈매기 몸에 걸려 번식지로 유입됐거나, 괭이갈매기가 작고 반짝이는 플라스틱 조각을 먹이로 착각해 섭취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항구와 양식장, 쓰레기 매립지 등 번식지 주변 공간에 쌓인 해양쓰레기가 번식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연구진은 번식지 주변 공간에서 발생하는 해양쓰레기, 특히 바닷새와 해양포유류의 생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낚싯바늘과 낚싯줄 등을 별도로 수거해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연구진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로베이에서는 낚시용품 수거함을 별도로 설치하고, 낚시용품이 스쿠버다이버·야생동물·선박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내용의 안내판을 설치하는 대안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텃새인 괭이갈매기는 고양이와 비슷한 울음소리에서 이름이 만들어졌고 일본에서도 '바다 고양이(海猫)'라고 불립니다.

꼬리 끝의 검은 띠와 부리 끝의 빨간 점이 특징이며 한배에 2~4개의 알을 낳고 암수가 24∼25일 정도 번갈아 품습니다.

우리나라 서해 난도와 함께 동해 독도, 남해 홍도도 대표적인 괭이갈매기 번식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