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97년생 25살 '제주 막내 해녀'…문화유산 명맥 잇는다

97년생 25살 '제주 막내 해녀'…문화유산 명맥 잇는다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제주에서 올해 25살의 1997년생 해녀가 활발히 물질을 하며 해녀 문화유산의 명맥을 잇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에서 현재 활동하는 해녀는 모두 3천226명이며 이 중 20살 이상 29세 미만의 20대 해녀는 3명으로 전체에서 0.1%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현재 최연소 해녀는 25살로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나고 자라 표선면 지역에서 활동 중입니다.

또 30대 해녀 12명(0.37%), 40대 해녀 74명(2.3%)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해녀 대부분은 50대 이상인데 50∼60대가 1천47명(32.5%), 70세 이상이 2천90명(64.8%)입니다.

현재 최고령 해녀는 94세입니다.

도내 어촌계에는 최근 5년간 모두 180명이 해녀로 새로 가입했습니다.

연도별 신규 해녀는 지난해 28명, 2021년 38명, 2020년 36명, 2019년 49명, 2018년 29명입니다.

연평균 30여 명의 해녀가 새로 생기는 셈입니다.

신규 해녀는 한림읍 내 어촌계에서 38명이 활동하고 있고, 그다음으로는 구좌읍 내 어촌계 22명으로 많았습니다.

도는 해녀 고령화와 함께 해녀 수가 크게 줄어 들어감에 따라 도내 2개 해녀학교를 통해 신규 해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해녀학교 운영 지원, 1인당 100만 원의 어촌계 가입비 지원, 40세 미만 신규 해녀 대상 3년 동안 월 30만 원 정착금 지원, 수산 종자 방류 등의 지원 정책을 진행 중입니다.

도는 3월까지 신규 해녀와 50살 미만의 해녀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해 기존 정책의 문제점을 발굴·개선하고 복지향상과 직업 안정화를 위한 정책을 펼 계획입니다.

물질 소득 현황, 부업 종사실태, 기존 정책 만족도 등에 대한 전수조사와 표본조사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정재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살아있는 문화유산인 제주 해녀를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해 힘쓰겠다"며 "이번 실태조사를 토대로 해녀들이 공감하는 신규 해녀 양성 정책을 발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제주해녀문화는 유네스코 지정 인류무형문화유산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