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 미사일 발사에 외신들 주목 "'전례 없는 강력 대응' 언급 다음 날"

북 미사일 발사에 외신들 주목 "'전례 없는 강력 대응' 언급 다음 날"
북한의 오늘(18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추정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는 외신들도 주목하며 일제히 보도에 나섰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발사된 미사일이 ICBM으로 추정된다며 일본과 한국의 발표 내용을 구체적으로 다뤘습니다.

이어 북한이 "미국 본토에 핵탄두를 쏠 수 있도록 설계된 기록적인 물량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이달 8일 열병식 당시) 평양 거리에서 선보인 이후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지도자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집중하는 사이 미국과 동맹국들을 상대로 도발을 강화하고 맞대응 격의 군사행동을 벌일 수 있는 상황을 찾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미사일이 북한 순안 일대에서 발사됐다며 순안은 평양 국제공항이 위치한 지역으로 최근 대부분의 ICBM 시험이 이곳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CNN 방송은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에 대해 "전례 없는 강력한 대응"을 언급한 바로 다음 날 미사일이 발사됐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어 "북한은 고각 궤도에서 미사일 시험을 한다"며 "만약 미사일이 더 평평한 궤도에서 발사된다면 이론적으로 미 본토에 닿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AP통신 역시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이 실행될 경우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위협한 지 하루 만에 이날 미사일이 발사됐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또한 "전문가들은 (최근 발사된) 미사일들에는 북한이 천명해온 고체연료 ICBM 확보 열망과 관련된 신형 시스템이 포함돼있다고 말한다"며 "이날 발사에도 고체 연료 시스템이 포함돼 있는지는 즉각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고체연료 시스템은 액체 연료와 비교해 발사 준비 시간이 덜 들고, 차량을 통해 이동시키기도 편리합니다.

북한은 지난 열병식에서 신형 고체연료 기반 ICBM을 처음 공개한 바 있습니다.

AP는 레이프-에릭 이슬리 이화여대 국제학과 교수를 인용해 "북한은 미사일 발사를 통해 개발 중인 기술을 시험하는 경우가 많은데, 북한이 장거리 고체연료 미사일 개발에 진전이 있다고 주장한다면 이는 주목할 만한 일"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슬리 교수는 "김정은 정권은 이번 발사가 한미 군사 협력과 유엔 제재에 대한 대응이라고 선전할 수도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