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본 정부, 중국 정찰풍선 대응 위해 무기사용 요건 완화 추진"

"일본 정부, 중국 정찰풍선 대응 위해 무기사용 요건 완화 추진"
일본 정부가 중국 '정찰풍선' 등에 대응하기 위해 영공을 침범한 비행체에 대한 무기 사용 요건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교도통신과 NHK가 보도했습니다.

일본 방위성 관계자는 집권 자민당 회의에서 타국 비행체가 영공을 침입했을 경우, 정당방위와 긴급 피난 시에만 허용되는 무기 사용 요건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본 정부는 항공기 이동 경로의 안전 확보를 위해서도 무기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 지금까지는 유인 항공기를 대상으로 한 대응에 치중했지만, 군사 분야에서 무인기 활용이 활발해지는 상황도 고려해 관련 방침을 개정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교도통신은 전했습니다.

하마다 야스카즈 방위상은 14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다른 나라 비행체가 영공에 진입하면 자위대 전투기가 공대공 미사일을 포함해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본 자위대법은 외국 항공기가 영공을 침입하면 자위대가 이 항공기의 착륙 혹은 퇴거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방위성의 허술한 방위 태세를 비판하는 발언이 잇따라 나왔습니다.

방위상을 지낸 오노데라 이쓰노리 자민당 안전보장조사회장은 방위성이 과거 발견된 비행체가 "중국 비행체라고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면 큰 문제이지만, 파악했는데도 항의하지 않았다면 더 큰 문제"라며 "일본의 방위에 큰 구멍이 있었다고 우려되는 사례"라고 지적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2019년 11월 가고시마현, 2020년 6월 미야기현, 2021년 9월 아오모리현에서 각각 확인된 비행체가 중국 정찰풍선일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현지시간으로 어제 워싱턴DC에서 열린 회담에서 중국 정찰풍선 대응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사진=미국 해군연구소 트위터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