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끼고 아꼈지만"…1월치 난방비 '폭탄 고지서' 속속 도착

"아끼고 아꼈지만"…1월치 난방비 '폭탄 고지서' 속속 도착
올해 1월 사용한 도시가스와 전기 요금이 이달 속속 청구되기 시작했습니다.

가스·전기 사용량이 많은 사우나와 식당 등에서는 12월에 이어 1월에도 '폭탄'과 같은 고지서를 받아 들고 시름이 더 깊어졌습니다.

가정에서도 "1월에는 한파가 와도 아꼈는데도 올랐다"며 근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모(48)씨가 운영하는 서울 중구의 한 여성 전용 사우나는 코로나19로 손님이 줄어 하루 4∼5시간만 도시가스 보일러를 가동했는데도 지난해 12월 27일∼올해 1월 31일 사용한 도시가스 요금이 380만 원이 나왔습니다.

직전 달과 비교해 3배 이상으로 뛰었다고 합니다.

전기요금도 지난해 12월 19일∼올해 1월 18일 사용분으로 500만 원이 청구돼 전월보다 100만 원 올랐습니다.

이 씨는 13일 "사우나 손님은 작년 12월과 올 1월에 차이가 없었는데 1월 요금이 많이 나왔다"며 한숨을 지었습니다.

이 씨가 운영하는 사우나엔 평일에는 하루 70∼80명, 주말에는 100명가량 찾습니다.

그는 "다른 대형 사우나는 더 크게 올랐을 것"이라며 "코로나19가 끝나면서 손님이 다시 조금씩 늘어 희망을 품으려던 참에 공과금 폭탄을 맞으니 희망이 사그라드는 느낌"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목욕업중앙회 서울중부지회 백미숙(56) 사무국장은 "1월에는 설날도 있어 손님이 더 많았기 때문에 가스·전기 사용량도 많아졌다"며 "코로나19로 목욕탕 업장 자체가 손님이 절반으로 준 상태에서 연료비로 추가 타격을 입고 있는데 대중요금이라 입장료를 올리기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용산구에 대중 사우나를 운영하는 사장님 가운데 1월 가스요금 고지서(작년 12월 사용분)에 1천500만 원을 냈는데 2월 고지서(올 1월 사용분)는 2천만 원이 나온 사례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물가는 오르는데 장사는 더 안 돼요. 택시 기사들도 요즘은 저녁에만 옵니다." 중구에서 10년째 기사식당을 하는 공 모(65)씨는 작년 12월 15일∼올해 1월 14일 사용한 전기요금이 42만 6천590원이 나와 전월(26만 2천960원)보다 16만 원 이상 많아졌다고 했습니다.

공 씨는 "너무 황당해서 한국전력에 전화했더니 전기요금이 올라 그렇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가스요금도 29만 원에서 40만 원대로 올랐다"고 하소연했습니다.

서울 관악구에서 순댓국집을 운영하는 김 모(72)씨도 이달 중순 넘어 나오는 1월분 가스요금 고지서가 "두렵다"고 했습니다.

김 씨는 "지난달 받은 고지서에 180만 원이 적혔는데 이번 달에는 200만 원이 넘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가정에서도 계속 오르는 에너지 요금에 애태우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중구 다산동 주택가에서 만난 주부 서 모(71)씨는 올 1월 1∼31일 사용분 난방비 고지서에 '45만 원'이 찍힌 것을 보고 적잖이 충격을 받았습니다.

직전 달과 비교해 15만 원이나 올랐습니다.

서 씨는 "보일러는 5단계 중 0∼1단계로 최저로 틀고 전기장판을 같이 켰다"며 "집이 꽁꽁 언 느낌이고 양말을 두세 켤레 신으면서 버텼는데도 이 정도"라고 했습니다.

경기 광명시 아파트에 사는 이 모(30)씨도 지난해 12월 22일∼올해 1월 18일 쓴 1월분 가스요금이 전월보다 9만 4천 원 오른 18만 원이 청구됐습니다.

배 가까이로 많아진 것입니다.

그는 "부부 둘만 사는 데다 '긴팔 생활'로 난방을 최대한 덜 틀었는데도 가스비가 많이 오르긴 한 모양"이라고 한숨을 쉬었습니다.

서울 노원구 43평(142.2㎡) 빌라에 사는 이 모(44)씨는 지난해 12월 28일∼올해 1월 20일 사용한 도시가스 요금 고지서를 최근 받았는데 22만 2천850원이 청구돼 전월보다 약 8만 원 늘었습니다.

이 씨는 "쓰지 않는 방은 난방을 껐고 보일러는 온수 온도를 고정해 가동했다. 생각보다 적게 나왔다고 생각했는데 1월이 전부 포함된 게 아니라 걱정"이라고 했습니다.

난방비 폭탄으로 절약에 절약을 거듭한 일부 가정에서는 '선방'한 사례도 있습니다.

서울 서대문구 빌라에 사는 김 모(31)씨는 1월 사용 도시가스 요금(지난해 12월 26일∼올해 1월 25일)이 11만 2천870원으로 직전 달보다 1만 원가량 줄었습니다.

김 씨는 "난방비를 아끼려고 온수 매트만 이용하고 실내온도를 17도로 낮게 유지하면서 춥게 지냈는데도 이 정도밖에 줄지 않았다니 무력감이 느껴졌다"고 말했습니다.

도시가스 요금과 전기요금은 검침원이 돌아다니며 계량기를 검침하는 날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월 15일에 검침했다면 지난해 12월 15일부터 1월 14일까지 사용량이 한 달 요금으로 계산돼 청구됩니다.

가정용 전기요금은 올해 들어 kWh당 13.1원 인상됐습니다.

이달 1일 이후로 검침해 산정된 요금은 인상분을 모두 반영하게 되는 셈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도시가스 요금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2% 올랐습니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4월(38.2%) 이후 2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지난달 찾아온 한파로 사용량도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