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금 시작해도 늦다…꽉 차가는 핵폐기장

<앵커>

우리나라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핵폐기물을 임시시설에만 의존해 저장하고 있는데, 이 시설마저도 예상보다 더 빠르게 차버릴 거라는 조사가 나왔습니다. 해법을 찾지 못하면 원전을 차례로 멈춰 세워야 할 수도 있습니다.

장세만 환경전문기자입니다.

<기자>

부산 고리 원전 1호기 내부.

다 쓴 핵연료봉을 임시 저장 시설 내 10m 깊이 수조에 넣어 식히고 있습니다.

[김상조/한국수력원자력 부장 : (습식 저장조는) 두꺼운 콘크리트와 스테인레스강 이중 구조로 돼 있고, 냉각 펌프로 늘 40도 이하 온도를 유지합니다.]

수조에 가득 찬 핵폐기물 포화율이 90%를 넘긴 곳은 이곳뿐이 아닙니다.

대부분은 수조가 원자로 건물과 연결돼 공간 확장이 불가능합니다.

산업부가 관련 학회를 통해 핵폐기물 저장 시설의 포화 시점을 계산해봤더니, 2년 전 계산보다 1~2년 더 앞당겨질 걸로 나타났습니다.

신월성 원전은 2년이 앞당겨졌고, 한빛과 한울 원전은 각각 1년씩 포화 시점이 빨라졌습니다.

한빛 원전은 해법이 없는 한 7년 뒤, 원전 가동이 불가능합니다.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도 포화 시점 단축에 한몫했습니다.

[송기찬/방폐학회 기술정책연구소장 : (지난달 확정된) 10차 전력 수급 계획에서 신한울 3,4가 또 추가로 고려가 됐고요. (노후 원전에 대해서도) 계속 운전을 하는 걸로 고려를 했기 때문에….]

근본 해법인 영구처분장 특별법이 국회에 올라와 있지만, 이 법안이 통과돼도 부지 선정부터 완공까지는 추가로 37년이나 걸립니다.

정부의 대안은 원자로 건물 바깥에 짓는 건식 임시 저장시설인데, 주민들은 사실상 영구처분장이 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특별법 논의과정에서 임시 시설의 사용 연한을 분명히 하는 등 주민 불신을 해소할 적극적 노력이 절실합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채철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