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직무급 도입, 모든 공공기관으로 확대…우수기관에 인센티브

직무급 도입, 모든 공공기관으로 확대…우수기관에 인센티브
정부가 직무급 도입 대상 기관을 공기업·준정부기관을 넘어 전 공공기관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3일) 최상대 제2차관 주재로 제2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직무급 도입 추진 기관을 기존 공기업·준정부기관에서 기타공공기관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경영평가 과정에서 공기업·준정부기관에 대해서만 직무급 도입 실적을 점검·평가하던 데에서 한 발 더 나가 주무 부처가 평가하는 기타공공기관에도 같은 기준을 준용하도록 권고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직무급을 도입한 공공기관은 공기업·준정부기관 130곳 중 35곳입니다.

정부는 내년까지 공공기관 100곳, 2027년까지 200곳에 직무급을 도입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 때에는 직무급 도입 기관에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습니다.

직무급 도입·확산 노력·성과에 가점을, 총보수 중 성과급 비중을 늘리는 경우와 평가등급에 따른 성과급 차등액을 확대할 경우 가점을 주는 방식입니다.

직무급 도입 우수 기관에는 총 인건비도 추가로 인상해줍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ESG)이 세계적으로 중요해지면서 2007년 공공기관 공시제도 도입 이후 16년 만에 통합공시 분류체계를 전면 개편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일반현황, 기관운영, 주요사업 및 경영성과, 대내외 평가, 정보공개' 등 5개로 나뉜 대항목을 '기관운영, ESG운영, 경영성과, 대내외 평가' 등 4개 대분류로 바꿉니다.

ESG 경영 현황은 ESG 경영보고서 형태로 공시하도록 할 예정이며 2024년까지는 자율공시, 2025년부터는 단계적 의무화를 추진합니다.

남녀 근로자 임금 비율, 복리후생 자체 점검 결과 등 공시 항목을 새로 만들고, 기존 공기업·준정부기관만 공시 대상이던 경영평가는 기타공공기관까지 전체 공공기관이 공시하도록 합니다.

이번 개편안은 4월부터 적용합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