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학진흥원 "얼굴도 본 적 없는 고조부모 제사상은 시대착오"

국학진흥원 "얼굴도 본 적 없는 고조부모 제사상은 시대착오"
한국국학진흥원은 오늘(1일) "조혼(早婚) 습속이 사라진 오늘날 고조부모까지 제사상을 차리는 4대 봉사를 이어가는 건 시대착오"라고 밝혔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15세 전후인 어린 나이에 결혼해 고조부모까지 4대가 함께 사는 경우가 흔했습니다.

이 때문에 고조부모의 제사를 모시는 4대 부모가 당연시될 수 있으나, 고조부모나 증조부모를 대면한 적이 드물거나 기억도 없는 상황에 제사나 차례를 이어가는 건 맞지 않다는 설명입니다.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인문정신연수원 연구기획팀장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연합뉴스)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인문정신연수원 연구기획팀장은 "조상에 대한 기억이 많을수록 제사에 임하는 정감이 다르다"라며 "유교 성향이 강한 경북지역 종가에서도 증조부모나 조부모까지의 제사로 바꾸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조상 제사는 개개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일종의 추모 의례"라며 "생전에 주고받은 정서적 추억이 풍부할수록 추모 심정이 간절해진다는 점에서 조상 제사 대상은 '대면 조상'으로 한정시키는 게 합리적인 방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4대 봉사는 주자가례(중국 송나라 성리학자인 주희가 일상 예절을 기록한 책)를 신봉하는 유학자들에 의해 보급되었습니다.

신분제 사회인 조선 시대에도 법전 경국대전은 관직의 품계에 따라 제사를 지내도록 했는데, 이때도 6품 이상의 경우 증조부모까지 제사를 지내게 했습니다.

조선 시대 어디에도 고조부모까지 제사를 지내는 4대 봉사를 제도로 명시한 경우는 없었다고 한국국학진흥원은 덧붙였습니다.

한국국학진흥원 인문정신연수원 연구기획팀은 지난 설 명절부터 바람직한 제례 문화 계승을 위해 '제례 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란 주제로 시리즈 보도자료 발행하고 있습니다.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