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해커를 해킹했다"…미 법무부 '랜섬웨어 네트워크 하이브' 폐쇄

"해커를 해킹했다"…미 법무부 '랜섬웨어 네트워크 하이브' 폐쇄
▲ 하이브 폐쇄 조치 발표하는 법무부 장관

전 세계 80여 개국의 병원, 학교, 금융기관 등을 대상으로 랜섬웨어 공격을 벌여 막대한 돈을 갈취한 해킹 네트워크 '하이브'를 폐쇄하는 데 성공했다고 미국 법무부가 26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메릭 갈런드 법무부 장관은 이날 워싱턴DC 법무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어젯밤 법무부는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 국가에서 수억 달러를 갈취하거나 갈취하려고 시도했던 국제적인 랜섬웨어 네트워크를 해체했다"면서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랜섬웨어(ransomware)는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침입해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도록 만든 뒤 이를 복구하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는 해킹 수법입니다.

랜섬은 납치된 인질의 몸값을 뜻하는 말입니다.

하이브는 2021년 6월부터 전 세계의 1천500곳의 피해자를 상대로 모두 1억 달러 이상의 돈을 받았습니다.

특히 하이브 공격 대상에 중요한 인프라 시설이 포함돼 있어 일상적인 업무 수행에 막대한 차질을 초래하기도 했다고 미국 법무부는 밝혔습니다.

가령 코로나19 대유행 때 하이브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한 병원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환자를 진료했으며 새로운 환자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연방수사국(FBI)은 지난해 6월 말 하이브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침투했으며 300개 이상의 해독 암호를 탈취해 하이브 공격을 받은 피해자들에게 전달, 모두 1억 3천만 달러 규모의 돈이 지급되는 것을 막았습니다.

또 1천 개의 해독 암호를 확보해서 이전 피해자들에게도 제공했으며 독일, 네덜란드 등과 공조해 하이브 웹사이트를 압수했습니다.

리사 모나코 법무부 차관은 "우리는 해커들을 해킹했다"면서 "가용한 모든 수단을 사용해서 사이버 범죄에 계속 반격을 가할 것이며 사이버상 위협을 줄이는 노력에 피해자들을 중심에 놓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