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400 조직' 블랙리스트 올려놓고도 못 거른 HUG

<앵커>

이 전세 사기 일당은 보증보험에 가입할 때도 2400으로 끝나는 전화번호를 썼습니다. 이렇게 같은 번호가 보험 가입 서류에 계속 반복됐는데도 보험 가입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습니다. 심지어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이 일당을 블랙리스트로 분류해 놓고도 걸러내지 못했습니다. 

이어서 조윤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A 씨는 지난 2021년 10월 세입자들이 요청한 보증보험에 가입하기 위해 주택도시보증공사, HUG를 찾았습니다.

그런데 HUG 직원 책상에는 이미 자신의 이름이 적힌 보험 신청서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고, 서류에는 모두 같은 전화번호가 적혀 있었다고 말합니다.

자신을 바지사장으로 끌어들인 최 씨의 대포폰 뒷자리인 2400이었습니다.

[A 씨/'2400' 조직 관계자 (음성 대역) : 처음 보는 서류였어요. 보증보험이 뭔지, HUG가 뭔지 아무것도 몰랐던 거예요. 전화가 2400으로 돼 있잖아요.]

2400 조직은 전세 계약을 할 때도, 또 보증보험에 가입할 때도 뒷자리 2400이라는 같은 전화번호를 사용했습니다.

4명이 동일한 전화번호를 돌려 쓴 것인데, A 씨는 HUG 측이 별다른 제재 없이 가입을 승인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실제 이들 앞으로 가입된 보증보험은 권 씨 583건, 박 씨 473건, 최 씨 201건에 달했습니다.

그런데 SBS 취재 결과 HUG가 이들을 보증 사고를 낼 가능성이 큰, 이른바 '블랙리스트'로 관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021년 7월에는 최 씨가, 한 달 뒤에는 박 씨가 블랙리스트에 올랐는데, 그 이후에도 같은 번호를 사용한 A 씨에게 HUG는 보험 가입을 55건이나 내줬습니다.

블랙리스트 관리가 너무나 허술했던 겁니다.

이에 대해 HUG는 이름 기준으로 블랙리스트를 관리하기 때문에 2400으로는 걸러내지 못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설치환·박현철·양지훈, 영상편집 : 김호진, VJ : 김상혁)
 

*[스프] '전세 사기 배후 추적단'에 자신이나 지인이 당한 전세 사기 피해 사례나 정보를 알려주세요. SBS 전세 사기 취재팀이 함께 추적하겠습니다. (아래 배너 클릭)

'전세 사기 배후 추적단' 배너

**배너가 눌리지 않으면 해당 주소를 주소창에 옮겨붙여서 보세요.
 
[반론보도] <[단독] 4명이 집 3,493채…'2400' 같은 번호로 보증보험 반복 가입> 관련

본 방송은 2023년 1월 16일 SBS 8뉴스에서 <[단독 ] 4명이 집 3,493채…'2400' 같은 번호로 보증보험 반복 가입>의 제목으로 주택도시보증공사 내에 전세 사기 일당의 조력자가 있어 전담으로 보증보험 가입 처리를 해주고 있다는 분양업계 관계자의 발언을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주택도시보증공사 측은 "보증 발급과 관련하여 특정인에 대한 전담 직원은 없으며, 공사 직원은 해당 전세 사기 집단과 전혀 관련이 없다"라고 알려왔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