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디지털 격차 커지면 사회에서 노인들 완전 배제"

"디지털 격차 커지면 사회에서 노인들 완전 배제"
최근 키오스크를 도입하는 식당이 늘고 은행·영화관 등 업무가 모바일 기반으로 대거 바뀌면서 일상생활 곳곳에서 노인의 자기 결정권이 침해당하고 있다는 학계의 진단이 나왔습니다.

오늘(16일) 정책연구·컨설팅업체 케이스탯컨설팅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한 연구용역보고서 '디지털 격차로 인한 노인의 인권상황 실태조사'를 보면 전문가들은 디지털 중심의 온라인 활동이 보편화하면서 병원·은행·식당·취미활동 등 일상생활에서 노인의 자기 결정권이 박탈당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보고서는 디지털 격차를 연구하는 대학교수와 국책 연구기관 연구원,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연구원, 노인종합사회복지관·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기관장 등 5명을 인터뷰해 이같이 결론지었습니다.

전문가들은 노인들이 경제권·생존권·이동권·정보접근권 등 일상 전반의 권리를 침해받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노인들은 온라인 금융 활동에 따르는 금리·수수료·포인트 등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QR 체크와 백신접종 예약에 서툴러 코로나19 환경에도 취약합니다.

택시 호출 애플리케이션과 기차·버스 온라인 예매, 지도 앱 등은 노인의 이동권 침해로, 재난지원금 등 온라인 기반 공공서비스 신청은 정보접근권 침해로 이어집니다.

전문가들은 "노인들이 디지털 활용을 위해 다른 사람에게 계속 의존하게 돼 자존감이 하락하고 무가치한 느낌을 받는다"며 "디지털 배제는 장기적으로 노인들이 사회 자체에서 배제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보고서 연구진이 노인 48명을 심층 면접한 결과 대부분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지만 활용 능력은 사람마다 차이가 컸습니다.

배워도 금세 잊어버려 주변인의 도움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디지털 소외 노년층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연구진은 "노인을 위한 디지털 교육 체계를 마련하고 관련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또래 노인이 교육하는 '노노교육'을 제안했습니다.

심층 면접에 참여한 노인들은 디지털 교육을 받을 때 또래 노인의 설명이 더 이해하기 쉽다고 말했습니다.

비슷한 눈높이에서 하는 교육이 더 효율적이라는 얘기입니다.

또래 간 소통으로 외로움과 우울감을 완화하는 부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고령층도 키오스크나 디지털 기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서울시는 2020년 '고령층 친화 디지털 접근성 표준'을 마련해 모바일 웹과 앱, 영상 콘텐츠를 만들 때 지키도록 했습니다.

보고서는 노인들이 금융사기를 당할 위험이 큰 만큼 마케팅 목적으로 노인의 개인정보 활용할 때 보안 사항을 더 엄격하게 준수하도록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