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금리 뛰자 은행 가계대출 18년 만에 첫 감소…작년 2.6조 원↓

금리 뛰자 은행 가계대출 18년 만에 첫 감소…작년 2.6조 원↓
금리가 오르고 부동산·주식 시장 부진까지 겹치면서 지난해 은행권 가계대출이 18년 만에 처음 줄고, 정기예금에는 역대 가장 많은 돈이 몰렸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천58조 1천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조 6천억 원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간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4년 이후 18년 만에 처음입니다.

1년 동안 주택담보대출은 20조 원 늘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이 22조 8천억 원이나 급감했습니다.

한국은행은 "금리가 높아진 데다 가계대출 관련 규제도 지속되면서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전망에 대해서는 "금리 인상과 규제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가계대출 안정세가 유지될 것"이라며 "다만, 부동산 관련 규제 완화의 효과는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은행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해 8조 7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2015년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첫 감소 기록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은 27조 원 늘었지만, 기타 대출이 35조 6천억 원 줄었고 업권별로는 은행권에서 2조 7천억 원, 제2금융권에서 5조 9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은행의 기업대출은 지난해 104조 6천억 원 불었습니다.

증가액이 2021년 89조 3천억 원보다 15조 원 이상 많을 뿐 아니라, 코로나 19 발생 첫해인 2020년 107조 4천억 원과 비슷한 규모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은행의 수신은 2천243조 5천억 원으로 지난해 107조 4천억 원 늘어났습니다.

정기예금이 200조 1천억 원이나 급증한 반면 수시입출식 예금에서는 104조 9천억 원이 빠져나갔습니다.

지난해 정기예금 증가 폭은 2002년 통계 작성 이후 20년 만에 최대 기록으로, 자금이 금리가 높은 정기예금 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난해 12월만 따로 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한 달 새 3천억 원 늘었습니다.

지난해 9월 이후 넉 달만의 반등으로, 특히 전세자금 수요 부진에도 집단대출과 안심전환대출 등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3조 1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기업대출은 연말 재무비율 관리를 고려한 상환 등의 영향으로 9조 4천억 원 줄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