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KB도 희망퇴직 시작…새해 벽두부터 은행원 수천 명 짐 싼다

KB도 희망퇴직 시작…새해 벽두부터 은행원 수천 명 짐 싼다
은행권의 희망퇴직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내년 초 다시 수천 명의 은행원이 짐을 싸고 제2의 인생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2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28일부터 노사가 합의한 희망퇴직 대상과 조건 등을 공지하고 신청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희망퇴직 대상은 1967년생부터 1972년생, 만 50세까지입니다.

최종 퇴직자는 특별퇴직금(근무기간 등에 따라 23∼35개월 치의 월평균 급여) 뿐 아니라 학기당 350만 원(최대 8학기)의 학자금과 최대 3천400만 원의 재취업 지원금, 본인과 배우자의 건강검진, 퇴직 1년 이후 재고용(계약직) 기회 등을 받습니다.

KB국민은행은 내년 1월 2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아 같은 달 18일까지 해당자들의 퇴사를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앞서 19∼27일 우리은행에서도 관리자, 책임자, 행원급에서 각 1974년, 1977년, 1980년 이전 출생자를 대상으로 희망퇴직 접수가 진행됐습니다.

1967년생의 경우 24개월 치, 나머지는 36개월 치 월평균 임금이 특별퇴직금으로 책정됐습니다.

이 밖에 자녀 1인당 최대 2천800만 원의 학자금, 최대 3천300만 원의 재취업 지원금, 건강검진권, 300만 원 상당의 여행상품권 등도 지원됩니다.

신한·하나은행 역시 예년 일정으로 미뤄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달 초 희망퇴직 공고가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후 KB·우리은행을 포함한 4대 은행의 희망퇴직은 대부분 내년 1월 안에 마무리될 가능성이 큽니다.

앞서 올해 1월의 경우 KB국민은행에서 674명, 신한은행에서 250명, 하나은행에서 478명, 우리은행에서 415명이 희망퇴직 형태로 은행을 떠났습니다.

4대 은행에서만 직원 1천817명이 사라진 셈입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조건이 비슷한 만큼, 내년 1월 퇴직자 수가 올해 1월보다 적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더구나 우리 등 일부 은행에서는 이번 희망퇴직 대상 연령이 만 40세까지 낮아진 만큼, 4대 은행의 최종 희망퇴직자가 올해보다 더 늘어 2천 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실제로 NH농협은행은 이미 지난달 18일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는데, 최종 퇴직자 규모가 약 5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해 427명보다 70명 이상 많은 규모입니다.

NH농협은행은 10년 이상 근무한 일반 직원 가운데 만 40세(1982년생) 직원으로부터도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