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내년 건보 직장가입자 월 최고 보험료로 400만 원 낸다

내년 건보 직장가입자 월 최고 보험료로 400만 원 낸다
내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월 최고 보험료가 약 4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보다 26만 원 정도가 오르는 셈입니다.

평범한 직장인 월급에 해당할만한 금액을 건보료로 내야 하는 이들은 월급만으로 1억 원 이상을 벌거나 월급 이외에 이자나 배당, 임대소득 등 부수입으로 월 5천만 원 이상을 올리는 극소수 초고소득 직장인입니다.

오늘(27일) 보건복지부가 최근 행정예고한 '월별 건강보험료액의 상한과 하한에 관한 고시' 개정안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적용될 보수월액 보험료 상한액은 올해 월 730만 7천100원에서 782만 2천560원으로 51만 5천460원이 인상됩니다.

보수월액 보험료 상한액 월 782만 2천560원은 월급으로 환산하면 1억 500만 원이 훌쩍 넘습니다.

건보 직장가입자의 건보료는 회사에서 받는 월급에 매기는 보수월액 보험료(보수 보험료)와 보수가 아닌 종합과세소득(이자·배당·임대 소득 등을 합친 금액)에 부과되는 소득월액 보험료(보수 외 보험료)로 나뉘는데 다만 이런 보험료에는 상한액이 있습니다.

건강보험은 세금과 달리 사회보험이기에 소득이나 재산이 아무리 많아도 보험료가 한없이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상한액은 건강보험법 시행령(제32조)에 따라 임금인상 등 사회경제적 상황을 반영해 보험료가 부과되는 연도의 지지난해 직장인 평균 보험료의 30배(지역가입자는 15배)로 연동해서 매년 조금씩 조정하게 돼 있습니다.

이 중 보수월액 보험료는 회사와 절반씩 부담하기에 초고소득 직장인 본인이 실제 내는 절반의 상한액은 올해 월 365만 3천550원에서 내년에는 월 391만 1천280원이 됩니다.

월 25만 7천730원이 올라 연간 309만 2천760원을 더 부담하게 됩니다.

보수월액 보험료 하한액도 올해 월 1만 9천500원에서 1만 9천780원으로 인상됩니다.

올해 11월 기준으로 보수월액 보험료의 본인 부담 상한액(월 365만 3천550원)을 부담하는 건보 직장가입자는 3천738명이었습니다.

피부양자를 제외한 전체 직장가입자 1천962만 4천 명의 0.019%에 해당했습니다.

소득월액 보험료 상한액도 올해 월 365만 3천550원에서 월 391만 1천280원으로 오릅니다.

상한액 월 391만 1천280원을 월수입으로 환산하면 5천400만 원이 넘습니다.

월급을 빼고 금융소득이나 임대소득 등 다른 부수입만으로 매달 5천400만 원 넘게 번다는 말입니다.

소득월액 보험료는 2011년부터 월급 외의 종합과세소득이 연간 7천200만 원을 초과해야만 부과하다가 2018년 7월부터 소득 중심으로 건보료 부과체계를 개편하면서 1단계(2018년 7월∼2022년 8월)로 기준소득을 '연간 3천400만 원 초과'로 내렸고, 올해 9월부터 '연간 2천만 원 초과'로 더 낮췄습니다.

올해 11월 현재 종합과세소득이 연 2천만 원(월평균 167만 원)을 넘어 소득월액 보험료를 따로 내는 직장 가입자는 56만 3천491명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직장가입자의 2.87%에 해당합니다.

이 중에서 상한액(월 365만 3천550원)을 내는 초고소득 직장인은 4천804명이었습니다.

건보료를 내는 전체 직장가입자의 0.024%이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