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일 외교 국장, 징용 해법 협의…"일 호응 조치 집중 논의"

한일 외교 국장, 징용 해법 협의…"일 호응 조치 집중 논의"
한일 외교당국은 오늘(26일) 도쿄 외무성에서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노동자 배상 문제의 해법을 논의하는 국장급 협의를 개최했습니다.

오늘 협의에는 서민정 외교부 아시아태평양 국장과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참석했습니다.

한일 외교당국 국장급 협의는 지난달 24일 도쿄에서 개최된 이후 한 달여 만에 다시 열렸습니다.

두 국장은 일제 강제 동원 노동자 배상 문제를 비롯한 한일 간 제반 현안을 논의했습니다.

강제 동원 노동자 배상 해법으로는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한일 기업 등에 기부금을 받아 일본 기업 대신 원고에게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기업의 사과와 기여라는 성의 있는 호응 조치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일본 기업의 기여와 사죄에 똑같이 무게를 두고 일본 측의 성의 있는 호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협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강제 동원 피해자 측이 한국 기업의 기부만으로 재원 조성을 시작해 피해자에게 지급하는 방안을 최근 정부로부터 유력하게 통보받았다고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한 것에 대해서는 "결정된 바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국이 강제 동원 배상 해법을 발표하면 일본이 그것에 대해 어떤 성의 있는 조치를 발표하는 형식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안을 발표한 뒤 정부가 어떻게 노력해왔고 부족하지만 이런 정도의 해법이 나왔다는 것을 원고와 소송대리인에 설명해드리면서 이해와 동의를 구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피해자들에 대한 변제를 대신 수행하기 위한 정관 변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재단 측은 정관 변경 추진이 외교부의 요청에 따른 것은 아니며, 재단이 대법원의 배상 확정판결 이행 주체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데 따라 사전 준비를 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