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기 웹툰 작가 연 수입 평균 1억 2천만 원…절반은 5천만 원 미만

인기 웹툰 작가 연 수입 평균 1억 2천만 원…절반은 5천만 원 미만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한국 웹툰 산업 매출액이 1년 사이에 50% 가까이 늘어나는 등 빠르게 성장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한 꾸준히 연재하는 '인기 작가'는 연간 1억 원이 넘는 수입을 올리고 있지만, 업계 내 소득 차이가 크고 불공정 계약 등의 문제는 근절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웹툰산업 매출액 추정
(사진=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연합뉴스)

오늘(22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공개한 '2022년 웹툰 사업체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한국 웹툰 산업의 작년 총매출액은 전년보다 약 5천122억 원(48.6%) 늘어난 1조 5천660억 원 수준으로 추산됐습니다.

이는 웹툰 플랫폼의 총매출액 추산액(약 8천241억 원)과 웹툰 콘텐츠프로바이더(CP)의 총매출 추정액(약 7천419억 원)을 합산한 것입니다.

국내 웹툰 사업체의 작년 매출액 평균은 186억 원이었고, 이들의 웹툰 관련 평균 매출액은 약 98억 원이었습니다.

웹툰 작가 연간 총수입 (사진=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연합뉴스)

웹툰 작가 수입은 연재가 끊김 없이 이어졌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습니다.

콘진원이 함께 공개한 '2022년 웹툰 작가 실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 내내 작품을 연재한 경험이 있는 작가의 연간 총수입 평균은 1억 1천870만 원으로 앞선 1년과 비교하면 약 3천749만 원(46.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연 총수입이 5천만 원 이상인 이들은 48.7%에 그쳤습니다.

15.5% 정도는 3천만 원 미만으로 조사되는 등 작가들 사이에 편차가 상당했습니다.

최근 1년 이내에 연재 경험이 있는 작가의 경우 연 총수입 평균이 약 8천574만 원으로 전년보다 2천905만 원(51.2%) 정도 늘었습니다.

웹툰 작가의 하루 평균 창작 활동 시간은 10.5시간이고 주 평균 창작 활동 일수는 5.8일이었습니다.

2021년 웹툰 작가 계약 형태 현황 (사진=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연합뉴스)

'웹툰 산업 불공정 계약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계약 관련 불공정 행위(복수 응답)로는 제작사 및 플랫폼에 유리한 일방적 계약(40.8%)이 가장 많이 지적됐습니다.

또 계약 체결 전 계약사항 수정요청 거부(32.1%), 특정 작가의 작품 등을 우대하는 차별(30.9%)도 문제로 꼽혔습니다.

(사진=네이버 서비스 화면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