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목욕비도 세탁비도 올랐다…월급은 주춤, 한숨만 커졌다

<앵커>

이 뿐 아니라, 세탁소나 목욕탕처럼 우리 삶에 꼭 필요한 서비스 분야 요금도 줄줄이 오르고 있습니다. 월급은 거의 제자리인데 가격표만 계속 바뀌면서 살림살이는 갈수록 빠듯해지고 있습니다.

이어서 정반석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양천구의 한 목욕탕, 나흘 전부터 목욕비를 천 원 올렸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습니다.

코로나로 가뜩이나 어려운데 전기, 가스요금까지 오르면서 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설명입니다.

[노건우/목욕탕 운영 : 저희들이 죽을 지경이니까 올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전기요금 자체가 270만 원 정도 나왔던 건데 이달 들어 370만 원 나왔어요. 손님이 없어도 따뜻한 물은 데워야 되고….]

목욕탕

동네 세탁소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이팔만/세탁소 운영 : 7월에 (가격을) 약간 올렸습니다. 기름값 오르지, 철강 오르지 해서 옷걸이, 비닐 이 모든 세탁 부자재가 올라서…. 그래도 어렵습니다.]

통계청 3분기 가계 소비지출에 따르면, 학원비, 외래 의료서비스, 연료비 등 부문의 지출이 크게 늘었습니다.

식자재와 먹거리 위주로 급등했던 인플레이션이 생활 서비스 쪽으로 확산하고 있는 겁니다.

서비스 물가는 한 번 오르면 좀처럼 내려가지 않는 특성이 있고, 동종 업체들의 가격 인상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다소 주춤해진 미국과 유럽 등이 서비스 물가 상승세가 여전히 가파르다 보니 긴축 기조를 이어나갈 수밖에 없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김성은/세종대 경제학과 교수 : 서비스 요금이라든가 특히 생활물가가 오르게 되면서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될 가능성이 큽니다. 저소득층 중심으로 고통이 가중되는 것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정책들에 대해 더 고민이 필요하다고….]

경기둔화로 임금 상승이 주춤한 가운데, 전방위 물가 상승으로 서민들의 실질소득 감소폭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이승진)

▶ 휘발유 리터당 99원 오른다…등유값 더 비싼 곳도 등장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