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벼랑 끝에 몰린 북극 식물들, 어디로 가야 할까

북극에도 꽃이 핍니다

극적인 사람들

지구상에서 가장 북쪽과 남쪽 끝 극단적인 곳에서 극한 체험하면서 연구하는 '극적인 사람들'. 보통 사람들은 일생에 한 번 가기도 힘든 남극과 북극을 수시로 오가며 연구 활동을 펼치는 극지연구소 사람들과 스프의 콜라보 프로젝트! 기후 변화의 최전선에 있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극적인 사람들"북극" 하면 단번에 하얀 눈이 덮인 얼음 위를 돌아다니는 북극곰을 떠올리실 텐데요, 북극에도 사막과 초원, 습지와 호수, 강과 바다가 존재합니다. 어떤 사람은 눈 덮인 침엽수 사이로 산타할아버지가 사슴이 끄는 썰매 타고 달리는 장면을 떠올리는데, 사실은 북극에는 이렇게 키 큰 나무가 없습니다. 북극은 그런 나무가 자라지 않는 툰드라거든요.

남극도 툰드라지만 북극과 사뭇 다릅니다. 일단 남극은 대부분이 얼음에 덮여있고 식물도 다양하지 않아요. 남극엔 꽃이 피는 식물이 단 두 종류만 살고 있답니다. 북극은 남극보다 식물에 훨씬 관대해서 3,000여 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고 그중 2,000여 종이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이 중에는 다른 곳에는 살지 않고 고산지대나 북극에서만 사는 고유한 식물도 있어요.

그런데 기후변화로 북극 식물은 엄청난 도전에 직면해 있답니다. 기온이 높아지다 보니 나무들이 점점 올라오고 있어요. 툰드라가 더 이상 툰드라가 아닌 거죠. 북극 툰드라 식물과 새롭게 파고드는 식물들과 경쟁하며 동시에 가파르게 올라가는 기온에 맞춰 적응해야 합니다. 여기서 적응하지 못하고 경쟁에 밀리면 더 이상 갈 곳이 없답니다. 북극의 끝에는 북극해만 있기 때문이죠. 실제로 우리나라 다산과학기지가 위치한 스발바르의 경우 200여 종의 식물 중에서 48종이 멸종위기종에 이름이 올라 있습니다. 다섯 종의 식물 중 하나는 이미 사라져 가고 있는 겁니다.

북극에도, 백두산에서도 살고 있는 식물들

나도수영 씨눈바위취스발바르에 사는 식물 중에 나도수영이나 씨눈바위취, 담자리꽃나무처럼 예전부터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식물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두산이나 북부 산간지대에서 살고 있어 지금은 이들 식물을 직접 볼 수는 없어 아쉽습니다. 언젠가 다시 길이 열리면 우리나라 고산 식물과 북극 식물을 비교해 보고 싶습니다. 그러면 아마 이들이 북극 식물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시베리아 어딘가에 살던 식물이 일부는 동남쪽으로 내려와 백두산 산자락에 터를 잡고, 일부는 서북쪽으로 올라가 스발바르까지 간 건 아닐까요?

담자리꽃나무백두산에서도 살고 있는 담자리꽃나무는 빙하기를 꿋꿋하게 견뎌낸 관목입니다. 여덟 장의 흰색 꽃잎이 노란 수술을 감싸고 있는 담자리꽃나무는 해바라기처럼 꽃이 해를 향해 방향을 바꾸죠. 해를 바라봐서 그런지 꽃 안쪽은 식물의 다른 부위보다 온도가 살짝 높습니다....

더보러가기 스프
**'보러가기'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해당 주소를 주소창에 옮겨 붙여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