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1월 취업자 62만 6천 명↑, 반년째 증가폭 둔화…청년 '감소 전환'

11월 취업자 62만 6천 명↑, 반년째 증가폭 둔화…청년 '감소 전환'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11월 취업자가 1년 전보다 60만 명 이상 늘었지만 증가 폭은 반년째 둔화했습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근 2년 만에 전년 같은 달보다 줄었습니다.

수출 부진과 고물가·고금리로 경기 둔화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서도 고용시장이 비교적 선방하고 있으나, 전망은 밝지 않다는 평가입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42만 1천 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2만 6천 명 증가했습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1999년 121만 7천 명 이후 23년 만에 최대폭 증갑니다.

취업자는 작년 3월부터 지난달까지 21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보다 늘었으나, 증가 폭은 지난 5월 93만 5천 명 이후 11월까지 6개월째 감소했습니다.

특히 지난달에는 청년층 취업자가 작년 같은 달보다 5천 명 줄어 작년 2월 -14만 2천 명 이후 21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했습니다.

11월 기준으로는 2020년 전년 동월 대비 24만 3천 명 감소한 뒤 지난해 16만 8천 명 증가했다가 2년 만에 다시 감소했습니다.

다만 청년층 고용률은 46.1%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올랐습니다.

청년층 실업률은 5.7%로 0.2%포인트 올랐습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청년층 취업자는 인구 감소 등으로 21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으나 고용률은 올랐다"며 "실업률이 높아진 것은 지난달 조사 기간에 지방직 7급 공무원 공채 시험이 있었던 영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전체 취업자 증가분 가운데 절반을 크게 웃도는 76.5%는 60세 이상이었습니다.

50대 9만 2천 명, 30대 6만 6천 명에서도 취업자가 늘었으나 40대에서는 6천 명 감소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 보건복지업에서 취업자가 많이 늘었습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 증가 폭은 2013년 산업 분류를 개정한 이래 11월 기준으로 가장 컸습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 대면 활동이 늘면서 지난 5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제조업에서도 취업자가 늘었으나 전월보다는 증가 폭이 둔화했습니다.

도소매업(-7만 8천 명), 금융보험업(-2만 7천 명) 운수·창고업(-1만 2천 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줄었습니다.

취업 시간별로는 36시간 이상 취업자가 26만 8천 명, 36시간 미만 취업자가 31만 3천 명 늘었습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67만 8천 명 늘었으나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각각 8만 3천 명, 8만 4천 명 감소했습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2만 9천 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2만 7천 명 각각 증가했습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7%로 작년 같은 달보다 1.2%포인트 올랐습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 이래 11월 기준으로 가장 높습니다.

실업자 수는 66만 6천 명으로 1년 전보다 6만 8천 명 줄었습니다.

실업률은 2.3%로 0.3%포인트 감소해 1999년 6월 실업률 기준을 바꾼 이후 11월 기준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공 국장은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증가 폭이 둔화했다"며 "제조업이 괜찮은 수준이긴 하지만 둔화하고 있고 도소매업, 운수창고업도 줄면서 전체적으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줄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금리, 환율, 수출 문제 등 불확실성이 많아 전망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국은행은 내년 취업자 수가 올해보다 각각 8만 명, 9만 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 바 있습니다.

올해 취업자 증가 폭 예상치인 79만 명(KDI)과 82만 명(한은)에 크게 못 미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