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강력한 AI 변종 직격…흑두루미 집단 폐사

AI 불안에 일본 흑두루미 순천만으로 이동

[취재파일] 강력한 AI 변종 직격…흑두루미 집단 폐사
흑두루미는 겨울철새다. 러시아 시베리아, 중국 동북부 지방 등에서 여름철에 새끼를 낳고 기른다. 기온이 내려가 추워지는 10월쯤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내려온다. 이듬해 3월 말 어김없이 번식지로 다시 올라간다. 기후조건에 순응하면서 계절의 전령사 역할을 한다. 흑두루미는 몸길이가 1m가량 되는 대형 야생조류다. 몸집이 큰 흑두루미가 조류인플루엔자<AI>에 속수무책으로 죽고 있다.

순천만 흑두루미 AI감염 잇따라

갈대와 드넓은 갯벌, 먹이터로 좋은 논이 있는 전남 순천만은 국내 대표적인 흑두루미 월동지다. 매년 3천여 마리가 겨울을 보내러 오는데 올 겨울엔 흑두루미들이 인플루엔자 감염병 공포에 떨고 있다. 지난달 중순부터 거의 매일 논바닥과 갯벌에서 흑두루미의 폐사가 이어지고 있다. 인플루엔자에 걸려 쓰러지고 죽는 거다. 흑두루미의 건강을 살피는 주민 감시원들도 하루 종일 망원경을 눈에 달고 살고 있다. 무리에서 낙오돼 죽어 있는 흑두루미 개체를 찾기 위해서다. 폐사체가 발견되면 최대한 바로 수거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인플루엔자 확산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고병원성 AI에 흑두루미 폐사 속출

지난달 13일부터 지난 7일까지 순천에서 발견된 흑두루미 폐사체는 1백44마리다. 24일간 하루 평균 6마리씩 죽고 있다. 하동과 서산, 목포 등 3곳에서도 같은 기간에 흑두루미 7마리가 죽었다.

광주에 있는 국립 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는 인플루엔자 검사를 위해 전국에서 야생조류 폐사체가 밀려들고 있다. 폐사체는 비닐로 밀봉돼 스티로폼 박스에 담겨 택배로 온다. AI 감염을 막기 위해서다. 연구원들은 죽은 새 기도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곧바로 AI 검사에 들어간다. H5항원이 검출되면 새들에게 치명적인 고병원성 여부를 밝혀야 하는데 최대 3일 정도 걸린다.

고병원성AI로 확진된 흑두루미는 지난 7일 기준 97마리다. 순천에서 발견된 폐사체가 93마리나 되고, 하동과 서산에서도 각각 3마리, 1마리에 이른다. 나머지 흑두루미는 검사 결과 음성이 6마리이고, 검사 중인 개체 수는 48마리다.
 
고병원성 AI에 흑두루미 폐사 속출
 
흑두루미 외에 큰고니 21마리, 쇠기러기 4마리, 큰기러기 4마리, 수리부엉이 2마리, 혹고니 3마리, 민물가마우지 2마리, 붉은부리갈매기 2마리, 중대백로 1마리, 흑고니 2마리가 고병원성AI에 감염돼 폐사한 걸로 확인됐다. 흑두루미가 고병원성AI로 국내에서 집단 폐사한 경우는 지난 20년 이후 처음이다. 20년과 21년에는 한 마리도 없었다.
 

AI변이 11종 출현…멸종위기종 폐사 속출

흑두루미는 왜 속수무책으로 죽어가고 있는 걸까? 전문가들은 올해 유럽을 비롯해 세계에서 확산 중인 고병원성AI 유전자 H5N1형의 병원성에 주목한다. 다양한 변이종이 나타나면서 어느 해 보다도 강력한 병원성을 지녔을 걸로 추정했다.

국립 야생동물질병관리원 김원명 과장은 "올해 유행하고 있는 H5N1 고병원성 바이러스의 경우 작년 이맘때까지 1종이었습니다. 그런데 현재까지 11종으로 아주 다양한 유전형이 발견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김 과장은 11개 변이종 가운데 흑두루미에 치명적인 유전형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연구 작업이 지금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흑두루미 폐사체
 
흑두루미의 집단폐사는 일본에서 먼저 시작됐다. 최대 월동지인 가고시마현 이즈미시 등에서 지난달 1일부터 최근까지 1천1백여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 흑두루미 개체수는 1만6천~1만 8천 마리로 추정된다. 일본에서 나타나고 있는 피해는 전 세계 개체수의 6%나 되는 우려할 만한 상태다.
 

일본 흑두루미 1천1백여마리 폐사…AI피해 순천만 이동

순천만에서는 지난달 10일쯤부터 흑두루미 개체수가 늘기 시작해 열흘만인 21일쯤엔 9천8백 마리로 급증했다. 보통 월동 개체수가 3천여 마리인 점을 감안하면 3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전문가들은 순천만에 도착한 흑두루미 6천여 마리는 일본 이즈미시에서 이동한 걸로 추정했다. 북쪽에서 오는 월동 개체들은 이미 도착했기 때문에 고병원성AI가 확산 중인 일본에서 흑두루미의 탈출이 이루어진 걸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순천만에서 흑두루미의 피해가 일본보다 훨씬 적은 이유는 서식환경의 차이에 있다. 일본에서 흑두루미의 잠자리는 논에 물을 가둬 만든 무논이지만 순천만은 바닷물이 드나드는 갯벌이다. 일본의 경우 논에 가둔 물이 AI에 오염됐고, 흑두루미들이 잠을 자기 위해 모여들어 물을 먹는 과정에서 AI가 급속히 확산됐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에 반해 순천만 갯벌은 바닷물이 드나들면서 AI 오염원이 씻겨 나가 위험성이 현저히 낮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순천만의 흑두루미 폐사는 일본에 비해 10%가량에 불과하다.
 
흑두루미 폐사체
 
순천만 자연생태관에서 흑두루미 보호업무를 맡고 있는 황선미 주무관은 "일본은 흑두루미가 좋아하는 자연습지가 굉장히 부족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인공적인 잠자리를 만들어서 관리해주는 것에 비해서 순천만 같은 경우에는 천혜의 자연요건을 갖추고 있고 갯벌이 있기 때문에 흑두루미에게 안전한 잠자리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또 주변 농경지에 먹이가 있기 때문에 월동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곳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흑두루미가 집단생활을 하는 습성으로 인해 호흡기로도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국립생태원 김영준 동물복지실장은 걱정했다. 흑두루미 폐사가 일본에서는 한 달 이상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숫자는 적어도 당분간 폐사가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
 

먹이주기 장소 분산, 소독강화해야

야생에서 일어나는 감염병 확산이다 보니 환경당국도 마땅한 대응방안을 찾기가 어렵다고 한다. 다만 흑두루미들의 밀집도를 낮춰 주기 위해 먹이주기 장소를 여러 곳으로 나누고, 서식지 주변에 출입 통제와 소독강화 등을 당부하고 있다. 또 흑두루미의 체력을 유지해주고, 가금농장 주변으로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볍씨를 뿌려줘 먹이공급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흑두루미는 멸종위기종 2급이자 천연기념물 제228호로 지정된 새다. 인플루엔자를 잘 이겨내고 건강하게 겨울을 난 뒤 내년 봄 다시 번식지로 무사히 돌아가길 바란다. 인간뿐 아니라 동물에게도 바이러스의 공격이 더 거세지고 있다. 생태계 순환과 자연 생존질서 중 하나의 과정이라 하기 엔 피해가 너무 혹독하다. 자연환경과 생태계, 야생동물에 대한 인간의 간섭을 줄이라는 신호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