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원희룡 "안전운임제 원위치 안 돼…일몰 기한 넘길수도"

원희룡 "안전운임제 원위치 안 돼…일몰 기한 넘길수도"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현행 화물차 안전운임제가 올해 말 일몰을 맞더라도 제대로 된 개선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화물연대가 파업을 철회했지만, 안전운임제를 뜯어고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입니다.

원 장관은 오늘(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화물연대가 파업으로 국민에게 큰 고통을 끼치고 국가 경제에 손실을 미친 마당에, (정부가) 안전운임제를 원위치하는 건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정부는 중간 단계가 비대한 물류산업 구조를 고칠 방안, 합당한 운임 구조를 담아 안전운임제 개선안을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원 장관은 "1인 다수 지입 등 중간 단계에서 이익을 가져가는 부분과 거래 구조를 손보는 부분을 최소한 (개선안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선복귀 후대화' 원칙에 따라 화물연대와 대화할 여건은 됐다면서도 "화물연대만 안전운임제 이해당사자인 건 아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정부가 화물차주뿐 아니라 화주, 운송사 등 이해관계자가 두루 참여하는 협의체를 꾸려 안전운임제를 논의하겠다는 것입니다.

원 장관은 "이번에는 밀고 당기는 대화가 아니라 제대로 된 물류산업 구조 개선을 목표로 해야 한다"며 "화물연대와 협상을 하는 게 아니라, 물류산업의 여러 당사자와 논의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논의 기간에 대해선 "안전운임제가 일몰되는 연내에 끝내면 좋겠지만 연초까지 가더라도 제대로 논의했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은 더불어민주당이 단독으로 국회 국토교통위를 통과시켰지만,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이 위원장인 법사위에 계류된 채 폐지냐, 제도 개선을 전제로 한 일시 연장이냐의 기로에 놓이게 됐습니다.

원 장관은 "일몰 연장안을 통과시킨 후 국회 논의가 동력을 상실하면 3년 뒤 똑같은 일(파업)이 벌어진다"며 "화물연대도 단순 연장안을 주장할 염치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국토부는 국회 내 상황에 구애받지 않는 협의체에서 개선안을 만들고, 이후 국회에서 법안을 통과시키자는 입장입니다.

운송개시명령을 거부한 화물차주와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이들에게 협박·폭력을 행사한 화물차주에 대해선 법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고 했습니다.

원 장관은 "복귀했더라도 형사처벌을 면책해주거나 처분을 취소하는 일은 없다"고 했습니다.

이어 "화물연대에 대한 기업들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 가능한데, 정부가 못 하게 하는 부분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0일 여의도에서 '화물안전운임제 사수 결의대회'를 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올해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그는 "지금은 어떤 공사 현장 한 곳에서 문제가 생기면 전국 몇백 군데에서 공사하는 법인 최고경영자(CEO)에게 책임을 묻는다"며 "규모가 크면 클수록 걸릴 수밖에 없어 안전 부문 CEO(CSO·최고안전책임자)를 따로 세우는 등의 편법을 낳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화물연대와 동조파업에 나섰던 건설노조의 잘못된 관행을 뿌리 뽑겠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원 장관은 "건설노조의 상당수 행태는 산업 현장에선 있을 수 없는 약탈적이고 폭력적 현상"이라며 "상납금, 월례비 등 건설노조가 부당한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고 채용을 강요하는 부분에 대해선 행정력과 공권력이 확실히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건설노조의 각종 불법 행위를 증언한 신고자에 대해선 증인 보호 수준의 신변보호 조치를 취하고, 신고자에게 위협을 가할 경우 고발까지 검토하겠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