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고장, 수리, 고장…결국 버렸죠" 화 돋우는 휴대폰 AS

<앵커>

스마트폰 하나를 오랫동안 쓰고 싶어도 고장 났을 때 수리가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들어서 아예 새 스마트폰을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소비자를 위해, 또 환경을 위해 쉽게 '수리할 권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퍼지고 있습니다. 

한승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스마트폰 케이스가 깨져 서비스센터를 찾았던 노현정 씨는 그대로 발길을 돌렸습니다.

[노현정/직장인 : 예약해야 된다고 해서 그냥 그대로 집에 갔어요. 센터 예약도 다 꽉 차 있어서…한 1~2주 있다가 다시 방문했어요.]

수리 비용은 50만 원.

또 고장 나 이번에는 사설수리업체를 찾아갔는데, 폰 상태는 더 나빠졌습니다.

[노현정/직장인 : 뭐가 잘못됐는지 아예 안 되더라고요. (그다음엔 어떻게 하셨어요?) 그래서 결국 그냥 아예 새 폰으로 바꿨죠.]

애플은 미국에서 지난 4월부터 자가수리 온라인 스토어를 열고 정품 부품과 수리 매뉴얼을 제공합니다.

삼성도 미국에서는 8월부터 스마트폰 자가 수리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전자제품의 '수리할 권리' 확대는 세계적 추세입니다.

거대 기업들의 '수리 독점'이 부당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전자제품 쓰레기와 환경 문제에 관심도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수명을 5년 연장하면, 1년 동안 자동차 500만 대를 운행하지 않는 것과 같은 탄소 감축 효과를 낸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김민지/서울환경연합 자원순환팀 : 전자 쓰레기가 줄어들면 자원을 아끼는 것뿐만 아니라 전자폐기물 속 유독성 화학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프랑스 파리의 한 전자제품 매장입니다.

스마트폰과 노트북마다 옆에 점수를 매겨 놨습니다.

지난해 도입한 수리가능성 지수입니다.

분해가 얼마나 쉬운지, 부품은 얼마나 싸게 쉽게 구할 수 있는지 등 5가지가 기준입니다.

스마트폰과 노트북, 텔레비전 등 5가지에 의무적으로 표기합니다.

[임성미/프랑스 유학생 : 매장에 가서 보면, 노트북이 이렇게 있으면 옆에 작은 설명서처럼 제품 설명서가 있지 않습니까? 그 안에도 작게, 아주 작게 마크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수리할 권리'에 대한 움직임은 아직 걸음마 수준입니다.

지난해부터 관련법안 6개가 발의돼 있지만,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임재호, VJ : 김준호, CG : 성재은·안지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