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안전결제인 줄 알았는데"…'당근페이' 악용한 먹튀 기승

사기범이 올린 판매글(좌)과 A 씨와 나눈 대화(우)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의 간편송금 서비스 '당근페이'를 악용한 '먹튀' 사기가 잇따라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망됩니다.

경기도에 사는 A 씨는 지난 4일 당근마켓에서 10만 원짜리 백화점 모바일 상품권을 9만 원에 판매한다는 글을 발견했습니다.

판매자는 "추석에 선물로 받았는데 여행자금 마련을 위해 처분하려고 한다"며 A 씨에게 "당근페이로 거래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당근페이'가 중고나라의 '중고나라페이'나 번개장터의 '번개페이' 등 다른 중고거래플랫폼에서 쓰이는 안전결제 서비스와 비슷하리라 생각한 A 씨는 총 6장의 상품권을 50만 원에 구매하기로 하고 B 씨에게 당근페이로 금액을 송금했습니다.

하지만 송금하자마자 게시글이 삭제됐고, 판매자는 상품권을 보내주지 않고 돈만 받은 뒤 연락 두절이 됐습니다.

A 씨는 그제야 '당근페이'가 안전결제 서비스가 아닌 간편송금 서비스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는 "번개장터나 중고나라에서처럼 구매자가 송금한 뒤 물건을 받고 구매를 확정해야 금액이 판매자에게 입금되는 시스템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면서 "구매자가 송금하면 바로 판매자에게 돈이 입금되고 판매자가 환불 버튼을 누르지 않는 한 환불받을 수 없는 구조였다"고 말했습니다.

A 씨는 자신의 돈만 가로챈 판매자를 즉시 당근마켓의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사기로 신고했습니다.

하지만 이 판매자는 한 시간 뒤 거주 지역만 바꿔 당근마켓에 똑같은 판매글을 올리고 또다시 사기행각을 벌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A 씨는 "주말이라 당근페이 고객센터도 운영되지 않아 곧바로 대처할 방법이 없었다"면서 "경찰에 신고하려면 이체 확인증이 필요한데 당근페이로 거래한 경우 이를 발급받는 절차가 은행보다 훨씬 복잡하고 까다로웠다"고 덧붙였습니다.

당근마켓이 지난 2월 선보인 '당근페이'는 이용자들의 거래 편의를 위한 간편송금 서비스입니다.

판매자와의 채팅창에서 별도의 계좌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송금하기' 버튼을 누르면 수수료 없이 바로 송금할 수 있습니다.

구매자가 결제한 금액을 중고거래 플랫폼이 보관하고 있다가 구매자가 상품 수령 후 구매 확정을 눌러야 판매자에게 송금이 되도록 하는 안전결제 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하지만 다른 유명 중고 거래 플랫폼들에서는 'OO 페이'라는 이름으로 안전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니 당근페이를 안전결제 서비스로 오인하는 소비자들이 많습니다.

또 이를 악용한 판매자가 당근페이로 선입금을 유도한 뒤 돈만 받고 잠적했다는 피해 사례도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당근마켓 관계자는 "당근페이는 수수료 없이 중고 거래를 할 수 있는 간편 송금 서비스로 안전결제(에스크로)와는 기술적으로 다른 유형의 서비스"라며 "대면 거래가 대부분인 당근마켓의 직거래 상황에서 당근페이를 이용하면 현금을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고 도입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이어 "안전결제 서비스 역시 이를 가장한 외부 링크로 유도하는 사기 행각이 벌어지고 있는 만큼 사기를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에 당근페이는 채팅창에서만 송금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송금 화면에서 송금 관련 주의사항을 안내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용자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제보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