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Fun 문화현장]
<앵커>
아프리카 현대미술의 거장 엘 아나추이가 대형 신작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버려진 병뚜껑을 미적으로 승화하면서 역사적 함의와 현대 소비사회의 문제를 제기합니다.
문화현장, 이주상 기자입니다.
<기자>
[엘 아나추이 : 부유하는 빛 / 2023년 1월 29일까지 / 바라캇 컨템포러리]
가로 8미터, 세로 6미터의 대형작품이 거대한 커튼처럼 전시장 한쪽 벽을 가득 채웠습니다.
붉은색으로 내리워지며 아프리카의 토속적인 분위기를 그대로 전달하기도 합니다.
자세히 보면 작은 병뚜껑들을 구리선으로 하나하나 연결한 것입니다.
엘 아나추이는 이렇게 금속성의 재료를 천으로 만든 것처럼 펼치는데, 최근에는 천의 주름보다는 평면의 회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화령/바라캇 컨템포러리 디렉터 : 주름이 거의 잡히지 않은 상태로 그냥 걸려 있거든요. 병 뚜껑이 구성돼 있는 지금 표현들도 약간 추상화 페인팅을 보는 듯한 그런 느낌이 더 강조되어 있고.]
작업은 마을 주민들과 함께 하는 협업입니다.
주민들이 병뚜껑을 얇게 펴고, 구리선으로 연결하면, 작가는 그 쪼가리들을 이어 작품으로 완성하는 것입니다.
[엘 아나추이/작가 : 예술가로서 소재를 직접 다루려고 애쓰는데, 그렇지 않으면 작품에 영혼이 담기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작품에 쓰이는 병뚜껑은 모두 술병에서 버려진 것들입니다.
그리고 그 술은 아프리카 노예들이 일하던 신대륙 사탕수수 농장의 원료로 만들어졌습니다.
[이화령/바라캇 컨템포러리 디렉터 : 그 설탕을 이용해서 럼주나 이런 알코올을 만들고 유럽에서 아프리카에 있는 노예와 교환하면서.. 그 노예무역의 역사가 담긴 병뚜껑입니다.]
작가는 병뚜껑들을 통해 식민지 시대 수탈의 역사뿐 아니라, 현대사회의 소비와 환경 문제까지 제기합니다.
작고 버려진 것들에서 웅장하고 빛나는 아름다움을 발견해내는 것입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