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기석 "실내 마스크 벗으면 사망 증가…백신 접종률 높아져야"

정기석 "실내 마스크 벗으면 사망 증가…백신 접종률 높아져야"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이하 자문위) 위원장이 최근 대전 등 일부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실내 마스크 해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오늘(5일) "확진자와 사망자가 늘어날 것인 만큼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반대 의사를 명확히 밝혔습니다.

그는 한 지역만 실내 마스크 의무를 해제할 경우, 그 지역의 환자를 다른 지역이 수용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며 방역 정책이 지역 간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고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정 위원장은 브리핑에서 "오늘 아침 시점에서 당장 실내 마스크를 해제해야 할 만한 특별한 변화가 없어 보인다"며 "확진자 숫자가 뚜렷하게 늘지는 않고 있지만, 숨어있는 확진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실내 마스크를 지금 당장 벗는다면 감염이 늘 것이 뻔하고, 그만큼 중환자와 사망자도 늘기 마련"이라며 "당장 실내 마스크(의무)를 해제했을 때 생기는 억울한 죽음과 고위험 계층의 고생에 대해 누군가 책임져야 한다. 실내 마스크 해제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하는 게 옳다"고 강조했습니다.

정 위원장은 "독감이 굉장히 증가하고 있는 것도 지금이 실내 마스크 해제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라고도 강조했습니다.

그는 "학교에서 마스크를 벗으면 어마어마한 독감 유행이 올 것이며 코로나19도 당연히 번질 것"이라며 "아직 학기 중인데 학교에 못 나오는 학생이 나오면서 학업 성취도에 문제가 생길 것이며, 학교에서 걸려 집에 가서 독감이 번지는 일도 당연히 예상된다"고 우려했습니다.

정 위원장은 "자문위에서 2차례 깊이 있게 논의했으나 논란이 계속돼 당분간 추세를 보겠다는 정도로 정리했었다"며 "질병관리청이 오는 15일과 26일 실내 마스크를 포함한 방역 정책에 대한 공개토론회를 여는데, 토론을 지켜보면서 실내 마스크 해제에 대해 이야기(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실내 마스크 해제를 위한 조건으로 방역당국이 목표로 하는 동절기 추가 백신의 접종률 목표(60세 이상 50%, 취약시설 거주자와 종사자의 60%) 달성을 제시했습니다.

또 중증화율 하락과 사망자 수 감소, 특효약 치료제 처방률 상승, 날씨가 추워지면서 조성된 3밀(3密=밀접·밀집·밀폐) 환경의 해소 등을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백신접종이 충분히 되고 숨어있는 감염자들이 점점 감염되면서 자연면역을 얻게 된다면 실내 마스크 의무를 해제하는 날이 생각보다 조금 더 빨리 올 수도 있다"며 "질병청의 2차례 회의에서 실내 마스크 의무 부과 해제의 로드맵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최근의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논란은 대전시와 충청남도가 자체적으로 해(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제하겠다고 나서면서 불거졌습니다.

대전시는 최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공문을 보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를 12월 15일까지 해제하지 않으면 자체적으로 해제하겠다며 그 이유로 ▲ 식당·카페 등에서 이미 대부분 마스크를 벗고 있어 실효성이 떨어지고 ▲ 아이들의 정서·언어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정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일일생활권이어서 아침에 서울에 있다가 저녁에 목포에 있는 나라다"라며 "방역이 해제돼서 위험한 지역이 생기면 그 지역 환자 발생이 늘고 다른 지역으로 파급이 될 텐데 이에 대해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한 지역에서 환자가 대량 발생하면 환자 수용을 못 해 다른 지역으로 (환자를) 보내야 할 텐데, 다른 지역은 무슨 죄이냐"며 "방역에 관해 일관성 있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