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뉴스토리] "나의 모국을 고발합니다" 20만 입양인의 절규

"부모도 있고, 본 적도 있는 유적아를 무적아로 만들어 버린 거잖아요. 신분 세탁을 한 거죠."
"저는 한국 정부를 고발합니다."
- 프랑스 입양인 김유리 씨 인터뷰 中

지난 1984년, 11살 때 프랑스로 입양됐던 김유리 씨가 절규한다. "대한민국을 고발합니다."

무슨 사연일까? 가족 사정상 잠시 보호소에 위탁된 사이, 보호자도, 성도 위조된 채 프랑스로 보내졌다. 호적과 주소지도 있었지만, 무적 고아로 위조된 것이다. 입양 단계별 필요한 관계 당국의 확인 절차는 무시됐다. 입양 부모의 자격도 확인하지 않았다. 멀쩡히 살아있는 친부모의 입양 의사도 물론 무시됐다. 아동의 인권은 더 철저하게 짓밟혔다.
 
"한양 김 씨, 한양 박 씨…한국 사회에 없는 성들이에요, 본적은 입양기관 주소로 바꾸고…"
- 프랑스 입양인 김유리 씨 인터뷰 中

해외 입양은 1950년 한국전쟁 직후, 사회적 문제로 여겨졌던 전쟁고아들을 위한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1953년, 4명의 아이를 시작으로 한 해외 입양 사업은 1970~80년대에 절정을 이루었다. 1980년대 중반에는 한해에 9,000명 가까운 아동들이 해외로 입양 보내지기도 했다.

이른바 '3저 시대'로 경제 호황기였던 80년대 후반까지 왜 해외 입양은 계속된 것일까? 아이 한 명을 입양 보내고 받는 수수료는 현재 우리 돈으로 환산했을 때, 4,000만 원 정도. 당시 사회복지사 한 명의 연봉에 맞먹는 액수였다. 해외 입양이 이른바 '아동 수출'로 여겨지며 본격적으로 산업화된 셈이었다. 곳곳에는 입양기관들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문제는 해외로 입양을 보내는 과정에서 벌어진 허술한 행정이었다. 앞서 김유리 씨의 경우처럼 일부에서는 허위문서 제작, 신분 세탁 등 불법적인 행위들까지 벌어졌다. 당연히 해외로 입양 보내졌던 이들 중 적지 않은 수가 '만들어진 고아'가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렇게 탈법적으로 해외로 보내졌던 아이들은 입양가정에 의한 신체적·정신적 폭력, 정체성의 혼란 등 어려움을 맞닥뜨려야만 했다. 심지어 시민권조차 받지 못해 떠돌다, 모국으로 추방돼 돌아오는 아픔도 현재 진행형이다.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출산율은 꼴찌, 해외 입양은 1등을 하는 어이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나라입니다."
- 신필식 입양연대회의 사무국장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출산율 대비 해외로 보내지는 입양아의 비율은 여전히 늘어나고 있다. 왜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계속 벌어지는 것일까?

이번 주 SBS 뉴스토리는 7~80년대 이른바 '아동 수출'로 여겨졌던 해외 입양 문제를 추적했다. '달러 벌이'의 대상이었던 일부 해외 입양인들의 사연을 듣고, 이들의 뿌리 찾기 여정을 함께 해보고자 한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