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구 당 빚 9천만 원 돌파…'갭투 · 영끌'로 20대 증가율 1위

가구 당 빚 9천만 원 돌파…'갭투 · 영끌'로 20대 증가율 1위
국내 가구당 평균 부채가 9천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영혼까지 끌어모은다는 이른바 '영끌'을 하거나 전세를 끼고 집을 매매하는 '갭투자'에 나선 29세 이하 청년층에서의 빚 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졌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자영업자들의 부채 증가율도 높았습니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은 전국 2만 표본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오늘(1일) 발표했습니다.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천170만 원으로 전년(8천801만 원) 대비 4.2% 증가했습니다.

이 중 금융부채는 전년보다 4.4% 증가한 6천803만 원, 임대보증금은 3.6% 늘어난 2천367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금융부채 비중은 전체 가구 빚의 74.2%를 차지했고 부채가 있는 가구 비율은 63.3%로 전년 대비 0.3% 포인트 감소했습니다.

부채 보유액 구간별로는 1억 1천만~2억 원 미만의 부채를 보유한 가구 비율이 16.5%로 가장 높았습니다.

부채 보유액이 3억 원 이상인 가구는 12.4%였습니다.

부채 유형별 보유액 및 구성비 (사진=금융감독원 제공, 연합뉴스)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면 29세 이하(15세 이상의 경제활동이 가능한 인구)의 부채가 41.2% 급증했습니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29세 이하의 경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을 하거나 금융부채를 얻어서 전세 등 보증금을 끼고 집을 매매한 몇 가구가 발견됐다"며 "이러한 특성이 증가율에 반영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29세 이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전년 29.2%에서 37.1%로 상승했습니다.

다만 임 복지통계과장은 "29세 이하 가구의 경우 표본 수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가구주 연령대별 부채 보유액으로 보면 40대가 1억 2천328만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30대(1억 1천307만 원)와 50대(1억 763만 원)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빚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29세 이하의 부채 보유액은 5천14만 원이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