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베네수엘라 원유 생산 제재 완화…유가 안정 목적도

미국 정부가 배네수엘라 정권 제재 차원으로 지난 2020년부터 금지해왔던 미 정유사 셰브런(Chevron Corporation)의 베네수엘라 원유 생산을 재개하도록 허가했습니다.

미 재무부는 현지시각 26일, 셰브런이 베네수엘라에서 천연자원 채굴 사업을 재개하도록 허가하는 일반 라이선스를 발급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20년, 미 정부는 니콜라스 마두로 정권 압박 목적으로 베네수엘라의 원유 수출을 제재했고 이에 따라 셰브런과 베네수엘라의 국영 정유사 PDVSA와 합작투자 사업도 중단됐습니다.

이번 라이선스 발급으로 셰브런은 PDVSA와 합작투자 사업 운영과 관련한 활동을 재개할 수 있지만, PDVSA는 셰브런의 원유 판매에 따른 수익을 받을 수는 없습니다.

미 재무부는 이 밖의 다른 베네수엘라 관련 제재는 그대로 유지하고, 강력히 이행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허가는 미국 정부가 제재 완화 조건으로 내걸었던 마두로 정권과 야권의 협상 재개가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베네수엘라 야권 지도자인 후안 과이도는 마두로의 2018년 대선 승리를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2019년 1월 자신을 임시 대통령으로 선언했습니다.

미국 등 60여 개국이 과이도를 인정했지만, 그해 4월 군사봉기 실패 등으로 양측의 갈등은 이어졌고 지난해 10월 이후엔 사실상 대화가 중단됐습니다.

미 재무부는 마두로 정권과 야권 협상팀이 이날 멕시코시티에서 만나 베네수엘라 국민을 위한 인도주의 지원안에 합의하고 2024년 대선과 관련한 대화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며 "베네수엘라의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외신들은 이번 미국의 제재 완화 명분은 양측의 협상 재개지만, 그 이면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가 등이 급등한 상황에서 주요 산유국인 베네수엘라의 원유를 시장에 공급해 에너지 가격 안정을 도모하려는 기대가 반영되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