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분기 출산율 0.8명 아래로…인구 35개월째 감소

3분기 출산율 0.8명 아래로…인구 35개월째 감소
올해 3분기(7∼9월) 출산율이 0.8명 아래로 떨어져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습니다.

출생아 수도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면서 인구는 35개월째 자연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오늘(23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출생아 수는 6만 4천85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2천466명(-3.7%) 감소했습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래 3분기 기준 최소치입니다.

올해 들어 지난 3분기까지 누적 출생아 수(19만 2천223명)는 작년 동기 대비 5.2% 줄면서 20만 명을 밑돌았습니다.

통상 연말로 갈수록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흐름을 고려하면 연간 출생아 수는 25만 명 안팎에 그칠 가능성도 있습니다.

3분기 합계출산율(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은 0.79명으로 1년 전보다 0.03명 감소했습니다.

이는 분기별 합계출산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9년 이후 3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로, 3분기 출산율이 0.8명을 밑돈 것은 올해가 처음입니다.

다만 30대 후반 이상 여성의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은 소폭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3분기 35∼39세 여성의 출산율(45.5명)은 1년 전보다 0.9명 늘었고, 40세 이상 여성 출산율(4.1명)도 0.3명 증가했습니다.

특히 40세 이상 출산율은 집계 이래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나머지 30∼34세(작년보다 2.9명 감소), 25∼29세(3.2명 감소), 24세 이하(0.5명 감소) 연령대에서는 모두 출산율이 감소했습니다.

자녀가 많은 '다둥이' 가정 역시 점점 더 줄어드는 모습입니다.

3분기에 태어난 아이 가운데 10명 중 6명 이상(62.7%)은 첫째 아이였으며, 둘째 아이는 30.5%, 셋째 이상으로 태어난 아이는 6.8%에 그쳤습니다.

부부가 첫째 아이를 낳기까지 소요되는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2.69년으로 작년 동기보다 0.24년 늘었습니다.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세종(1.03명)과 전남(1.04명)만 1명을 넘겼습니다.

서울 합계출산율은 0.59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습니다.

올해 9월 기준 출생아 수는 2만 1천885명으로 1년 전보다 20명(-0.1%) 감소했습니다.

월별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82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9월 조출생률은 5.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9월 사망자 수는 2만 9천199명으로 1년 전보다 3천537명(13.8%) 증가했습니다.

이는 월간 사망자 통계가 작성된 이래 역대 최대치입니다.

3분기 사망자 수(8만 5천229명) 역시 10.2% 늘면서 동기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고령화로 사망자 수가 늘어나는 가운데 코로나19도 일부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인구 자연 증가분(출생-사망)은 2019년 11월부터 35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올해 9월 인구는 7천313명 자연 감소했으며, 1∼9월 기준으로는 인구 8만 6천775명이 자연 감소했습니다.

3분기 혼인 건수는 4만 5천413건으로 1년 전보다 1천221건(2.8%)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의 여파로 혼인신고가 급감했던 영향입니다.

9월 혼인 건수(1만 4천748건)도 작년 동월보다 7.4% 늘었습니다.

3분기 이혼은 2만 3천926건으로 작년 동기보다 1천121건(-4.5%) 감소했습니다.

다만 건수 자체는 혼인 지속 기간이 20년 이상인 '황혼이혼'이 9천72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