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석방 이틀 전 김만배 입에 쏠리는 눈…'폭로전' 가담하나

석방 이틀 전 김만배 입에 쏠리는 눈…'폭로전' 가담하나
대장동 사업 특혜 의혹으로 구속됐던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남욱 씨가 석방 후 연이어 '폭로전'을 이어나가면서 내일(24일) 출소를 앞둔 김만배 씨의 '입'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대장동팀에서 대관 로비 역할을 맡았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측근들의 지분을 챙겨 준 인물로 지목된 만큼 김 씨까지 폭로전에 나서면 파급력은 어마어마할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석방된 유 전 본부장과 남 씨의 폭로에 김 씨가 엮인 터라 김 씨의 확인은 결정적이어서입니다.

그렇게 되면 대장동 특혜 의혹의 중심은 '대장동 일당'에서 '이재명 시장실'로 완전히 옮겨지게 됩니다.

남 씨는 22일 취재진과 만나 대장동 일당의 주도자가 누구냐는 질문에 "회사를 운영할 때 주식을 제일 많이 받는 것은 회장님"이라고 답했습니다.

민간사업자 중 명목상 지분이 가장 많은 김 씨를 에둘러 지목한 것입니다.

대장동 사업 추진 과정에서 김 씨가 정·관계 인맥을 동원해 각종 민원을 해결하고 인허가를 받아내는 역할을 했고 이 대표의 성남시장 재선에도 기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결과 대장동 사업의 주도권이 김 씨에게 넘어갔고, 이 대표 측근들(정진상·김용)과 '의형제'까지 맺게 됐다는 게 남 씨 주장입니다.

김 씨는 화천대유자산관리와 천화동인 1∼3호를 자신과 가족의 명의로 소유했습니다.

이는 대장동 사업자 성남의뜰의 민간사업자 지분 전체의 49%에 달합니다.

김 씨는 2015년 초 자신의 지분 중 절반인 24.5%가량은 '이재명 측'의 숨은 지분이라고 대장동 일당에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남 씨의 폭로엔 김씨가 곳곳에서 등장합니다.

그는 재판에서 "2015년 2월부터 천화동인 1호 지분이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 측 지분이라는 것을 김만배 씨에게서 들어서 알았다"고 진술했습니다.

또 자신이 분양대행업자 이 모 씨에게서 빌린 22억 5천만 원 중 12억 5천만 원과 토목업자 나 모 씨에게서 빌린 20억 원을 전부 김 씨에게 전달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김 씨에게 넘어간 돈은 유 전 본부장, 정진상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 측에게 최소 4억 원 전달돼 이 대표의 성남시장 재선에 쓰이거나 시의원들에게 전달됐다고도 했습니다.

남 씨는 김 씨에게 '2018년 경기지사 선거 때 유 전 본부장 모르게 정 실장에게 선거 비용을 지급했다'는 취지의 말도 들었다고 증언했습니다.

남 씨의 주장을 종합하면 김 씨는 대장동팀의 리더 역할을 하며 이 대표 측 지분을 자신 명의로 보관했던 '금고지기'이자, 민간사업자들과 정·관계 인사들을 연결하는 '로비의 고리'였던 셈입니다.

문제는 남 씨의 증언 대부분이 김 씨에게서 들은 '전언'이라는 점입니다.

김 씨가 남 씨 주장을 부인하면 이 모든 폭로는 법정에서 증거능력을 잃게 됩니다.

정 실장 측도 이 지점을 지적하며 남 씨 진술의 신빙성을 탄핵하고 있습니다.

이 대표를 향해 수사망을 좁혀가는 검찰로선 김 씨의 '확인 진술'을 직접 확보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검찰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남 씨의 재판 진술은) 경험도 있고 전언도 있다"며 "법리적인 증거관계를 따져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씨는 남 씨와 유 전 본부장이 불붙인 천화동인1호의 실소유주 논란에 해답을 쥐고 있지만 여전히 기존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수사 초기부터 천화동인 1호의 실소유주는 본인이며, 유 전 본부장에게 천화동인 1호 배당금 중 700억 원(공통비 등 공제 후 428억 원)을 주기로 한 건 유 전 본부장 측에서 자꾸 돈을 달라고 해 '달래기' 차원에서 한 말일 뿐 진정성이 없었다고 주장합니다.

김 씨 측 변호인도 "유 전 본부장에게 700억 원을 주고 나면 김 씨에겐 뭐가 남느냐. 그 돈을 실제 줄 것 같았으면 진작 줬지 않았겠느냐"는 입장입니다.

'50억 약속 클럽'도 공통비용을 부풀리기 위한 허풍이었다는 게 김 씨의 입장입니다.

이 때문에 김 씨가 출소하더라도 입장을 번복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사업 과정에서 김 씨가 친분을 자랑하거나 실제로 접촉했던 고위 관계자들이 여야 정치권은 물론 법조계와 언론계에 두루 퍼져있는 만큼 진술의 파급력 역시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김 씨가 남 씨에게 받아 간 운영비 명목의 자금을 실제 로비에 모두 사용했다면 수십억대의 뇌물·불법 정치자금 공여 혐의가 공소사실에 더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맥을 앞세워 경기도 일대에서 진행된 각종 개발·이권 사업에 참여해온 김 씨가 출소 후 재기를 염두에 두고 주변에 대한 '의리'를 선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