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빈 살만 면책특권은 관행…양국 관계와 무관"

미국 "빈 살만 면책특권은 관행…양국 관계와 무관"
▲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미국 정부가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면책 특권을 인정한 것은 양국 관계와 무관하다고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밝혔습니다.

현지시간 22일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블링컨 장관은 이날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오랜 시간을 거쳐 확립된 국제관습법의 원칙에 따라 내린 법률적 결정"이라면서 "어떤 식으로든 양국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고 일축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사우디와 미국의 관계 재설정 검토는 현재 진행 중"이라면서 현재로서는 빈살만 왕세자가 미국을 방문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사우디 주도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결정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이익을 안겨주는 행위라며 비난해 왔습니다.

하지만, 사우디는 순수하게 경제 논리에 의한 결정이라고 맞서면서 과거처럼 특정 강대국에 줄을 서기를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에 사우디와의 관계 재설정 검토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행정부는 사우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 관련 소송에서 빈 살만 왕세자의 면책 특권을 인정하기로 했다는 내용의 문건을 지난 17일 미국 연방 지방법원에 제출했습니다.

여기에 OPEC 산유국들의 증산 검토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일각에서는 미국과 사우디의 관계에 훈풍이 부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사우디 출신의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인 카슈끄지는 2018년 10월 2일 혼인신고를 위해 이스탄불 주재 사우디 총영사관을 찾았다가 사우디 정보요원에 의해 살해됐습니다.

카슈끄지는 빈살만 왕세자에 대해 비판적인 기사를 많이 써 사우디 왕실이 주목하는 언론인 가운데 한 명이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카슈끄지의 살해 배후에 빈살만 왕세자가 있었다는 미국 정보기관의 결론을 공표해 사우디와 외교 갈등을 빚었습니다.

카슈끄지의 약혼녀 등은 빈살만 왕세자 등을 상대로 정신적·금전적 손해 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2020년 미국 법원에 제기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