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 '서울항' 만든다…2026년 가동 목표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 '서울항' 만든다…2026년 가동 목표
서울시가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 '서울항'을 만드는 사업을 약 10년 만에 다시 추진합니다.

시는 한강의 물길을 관광 자원화하고자 '세계로 향하는 서해뱃길' 사업을 본격화하고 2026년까지 여의도에 서울항을 조성한다고 오늘(14일) 밝혔습니다.

세계로 가는 서해뱃길 사업의 핵심은 2010년 지역관리무역항으로 지정된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 기능을 갖춘 서울항을 만들어 한강에서 서해, 동북아시아를 잇는 서해뱃길의 활용 가치를 높인다는 것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010년 한강르네상스 사업과 연계해 서울항 조성사업을 추진한 바 있습니다.

김포에서 용산까지 대형 여객선이 운항할 수 있는 뱃길을 만들어 경인아라뱃길과 연계한다는 구상이었습니다.

용산과 여의도 두 곳에 여객선이 정박할 수 있는 항구를 만든다는 계획도 포함됐습니다.

하지만 2012년 대규모 토건 사업에 부정적인 입장인 박원순 전 시장이 취임하면서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아 해당 사업은 백지화됐습니다.

다시 추진하는 서해뱃길 사업은 크게 2단계에 걸쳐 진행됩니다.

1단계로 올해 한강과 경인아라뱃길을 오가는 유람선 시범 운항을 시작했으며 내년에는 정기운항을 추진합니다.

시는 올해 9월 1천t 급 선박이 다닐 수 있도록 한강 갑문 인근 수역의 수심을 3.5m로 확보한 바 있습니다.

내년에는 정기운항에 맞춰 선박 길이가 약 66m인 1천t 급 유람선이 여의도 선착장에 정박할 수 있게 현재 65m인 여의도 선착장을 95m로 확장하기로 했습니다.

지금은 경인아라뱃길에서 출발한 유람선이 여의도에 정박하지 못하고 회항하고 있습니다.

시는 90m 이상의 선착장이 확보되면 회항하던 유람선이 정박할 수 있어 관광 편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2단계로는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인 서울항을 만들고 2026년부터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서울항이 조성되면 여수, 제주도 등 국내선 항만 기능을 우선 수행하고 추후 세관·출입국·검역(CIQ) 기능을 도입해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를 연결하는 국제항으로 기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서울항이 완성되면 여의도 선착장은 국내선 용도로 활용하거나 선착장이 필요한 한강 내 다른 지역으로 옮길 예정입니다.

아울러 시는 민간자본을 활용, 서울항에 터미널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도입해 사업성을 높이고 복합문화관광명소로 만든다는 구상을 내놓았습니다.

여의도 국제금융지구와 연계해 국제회의장, 수상호텔 등을 조성하고 노을전망대 등 관광자원을 확보합니다.

면세점, 보세창고 등도 조성합니다.

시는 내년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짜기로 했습니다.

유람선이 다닐 때 주변 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검토합니다.

서울항 조성과 연계해 한강의 수심, 교량의 높이, 교각의 간격 등에 맞는 한강 맞춤형 선박의 최대 제원을 산정하는 작업도 이뤄집니다.

한강에서 서해를 거쳐 중국 칭다오, 상하이 등 국내외 관광지를 안전하게 오갈 수 있는 선박을 민간에서 건조할 수 있게 기준을 제시한다는 목표입니다.

시는 폭 20m 이내, 수면에서 높이 10m 이내, 흘수(배가 물 위에 떠 있을 때 물에 잠겨 있는 부분의 깊이) 4.5m 이내, 길이 130m 이내의 크기로 약 5천t 규모의 선박이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윤종장 서울시 한강사업본부장은 "세계로 향하는 서해뱃길 사업은 '3천만 명 관광도시 서울'을 견인하는 새로운 관광자원이 될 것"이라며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여가생활에 관한 수요가 급증하는 시기에 서울시민을 비롯한 국내외 관광객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