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Pick] "그물 못 버리게…" 바다 위에 띄운 '이것'의 정체는?

GIST 연구진,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 실증시험 중

어구자동식별모니터링시스템 실증시험 운용 (사진=광주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고기잡이에 쓰이는 그물을 비롯한 각종 어구에 전자식 꼬리표를 붙여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고안해 실증시험에 나섰습니다. 

이는 선박 안전 운항과 해양 생태계 보호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정보통신융합연구센터 소속 연구진은 SK텔레콤과 전남 신안군 등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내년 3월부터 7개월간 한국 서남부 연안 조업 구역에서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 실용화를 위한 해양 실증시험을 실시한다고 오늘(10일) 밝혔습니다.

현재 센터가 개발 중인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상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바탕으로 어구마다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전자 부이'를 붙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전자 부이란 물 위에 띄우는 표식에 전자식 꼬리표를 부착한 것으로, 여기에는 어구의 소유자와 종류, 위치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이 전자 부이를 활용한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조업 중인 어구에 관한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주변 어민과 관리선, 육상통합 관제센터가 실시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다 위에 떠 있는 전자 부이(빨간색 원). 연안자망에 어구자동식별 전자부이를 부착하여 어구관리 실증시험 중이다. (사진=광주과학기술원 제공)
▲ 바다 위에 떠 있는 전자 부이(빨간색 원)

광주과학기술원(GIST) 연구진이 개발한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해 어선에 설치된 관제 장치로 위치 정보 등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 (사진=광주과학기술원 제공)
▲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해 위치 정보 등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

또 선박들은 물속에 방치된 그물이 있는 줄 모르고 다른 그물을 던져 그물들끼리 뒤엉키는 일을 피하는 등 해상 사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사라진 어구나 폐어구를 관리해 해양 생태계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폐그물은 바다 생물에게는 일종의 덫처럼 위험한데, 폐그물에 걸린 바다 생물이 발버둥을 치다 치명적인 상처를 입거나 죽는 일이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어구 과다 사용에 의한 자원남획 및 폐어구로 인한 해양환경 오염이 심각합니다. 

연구진에 따르면 현재 한국 연근해에서 사용되는 연간 어구 사용량은 13만 1,000톤(t)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적정 사용량보다 2.5배 많은 수치입니다. 

이 가운데 4만 4,000톤(t)은 바다에 버려져 해양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로 수산업은 지금껏 천이나 플라스틱 널빤지 등에 실명을 표기한 표지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어구 실명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효성이 낮은 탓에 무선통신을 통해 육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어구 위치확인 전자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습니다. 

센터 측은 "어구실명제로 표기한 정보는 (해상에서의 마찰로 인해) 쉽게 지워지는 데다 사람이 가까이 다가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며 "무선통신을 이용한 새 모니터링 기술을 쓰면 이런 문제가 해소돼 그물 등 어구를 해양에 방치하는 일 자체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최영윤 GIST 교수는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은 육상에서 어선과 어구를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며 "어구 실명제의 실효성을 높이고 유실 어구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센터 측은 해상 IoT 무선통신 기반 어구 식별 부이, 어구 식별 부이 관제시스템, 유실 어구 관리기술 등 3개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사진=광주과학기술원 제공)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