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해외여행 숙박비 다 냈는데 현지 추가 요금…"꼼꼼히 살펴야"

해외여행 숙박비 다 냈는데 현지 추가 요금…"꼼꼼히 살펴야"
주요 여행·숙박예약플랫폼 업체들이 해외 숙박시설 정보에 실제 드는 비용보다 저렴한 가격을 내세우면서 현지 추가 결제가 필요한 요금은 눈에 잘 띄지 않게 안내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는 오늘(9일) 국내에서 많이 이용되는 9개 숙박예약플랫폼을 대상으로 지난달 20∼28일 조사한 결과 이런 사실을 파악했다며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조사 대상은 아고다, 부킹닷컴, 호텔스닷컴, 익스피디아, 에어비앤비, 트립닷컴, 하나투어, 모두투어, 트립비토즈입니다.

센터에 따르면 이들 플랫폼 대부분 수영장·와이파이 등 시설이용료 명목인 '어메니티 피'(Amenity Fee)나 '리조트 피'(Resort Fee)로 20∼80달러가량의 현지 추가 요금 결제를 요구했습니다.

에어비앤비는 시설이용료를 현지 결제 비용으로 청구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내용은 소비자가 발견하기 힘들 만큼 작은 글씨로 고지돼 있거나 결제 화면에서 '자세히 보기' 등의 메뉴를 클릭해야만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시는 "추가 비용 지불을 최소화하려면 숙소 예약 시 숙박예약플랫폼과 숙박업체의 공식 홈페이지를 꼼꼼하게 비교해 보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며 "보통 숙박업체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예약하면 업체가 대행 플랫폼에 지불하는 평균 20%의 수수료를 절약하게 돼 소비자에게 시설이용료를 물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대부분의 플랫폼이 해외 숙박업소를 한글로 소개하면서 원화로 결제하게 하는데, 해외사업자가 운영하는 플랫폼은 원화 결제에 3∼8%의 이중환전수수료를 부과했습니다.

따라서 해외사업자가 운영하는 플랫폼을 이용할 때는 해당 국가 현지 통화나 달러로 결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숙박업체 공식 홈페이지에서 예약하면 자동으로 달러나 현지화로 결제돼 수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류대창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은 "해외 숙박을 예약할 땐 온라인상의 결제와는 별도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숨겨진 비용이 있을 수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며 "시는 예약 전 숙지해야 할 내용 등 소비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꾸준히 제공해 관련 피해를 막는 데 도움을 주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