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극해 시한부 선고…"30년 뒤면 여름철 얼음 없다"

북극해 시한부 선고…"30년 뒤면 여름철 얼음 없다"
기후변화 때문에 북극해에서 30년 뒤에는 여름철에 얼음을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국제 지구빙하권 기후 이니셔티브(ICCI)는 이집트에서 열린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7)에서 극지 상태를 분석한 최신 보고서 '빙하권 상태 2022'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빙하, 해빙(바다얼음), 동토 등으로 이뤄진 전 세계 빙권이 빠른 속도로 녹는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보고서는 매년 여름 북극해를 떠다니던 해빙이 2050년까지 확실히 사라질 것이라면서 시한부 선고를 내렸습니다.

보고서 공동저자이자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서 해빙을 연구하는 로비 말렛은 "더는 (지구 온도 상승을) 섭씨 1.5도 아래로 유지할 수 없듯 (북극해에) 얼음이 없는 여름을 피할 길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COP27 회의가 북극의 여름철 바다얼음을 보존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구표면 온도가 산업화 전 대비 섭씨 1.6도 오를 경우 여름철 해빙이 사라질 것이라고 작년에 밝힌 바 있습니다.

현재 지구 표면 온도는 2100년까지 산업화 전과 비교해 섭씨 2.8도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말렛은 북극 해빙 면적이 줄어들면 바람과 파도가 강해져 침식이 증가하고 450만 명 이상이 사는 지역이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과학자들은 기후변화 추세를 바꾸려면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절반으로 줄여 2050년까지 탄소중립(탄소 배출과 흡수가 균형을 이루는 순배출량 0)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보고서는 이러한 목표가 달성된다고 하더라도 빙권은 2040∼2080년 사이에 안정을 되찾기 시작할 것이라며 방하가 2200년까지 앞으로 100년 이상 계속 녹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보고서는 산업화 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이 섭씨 1도 정도에 그칠 경우 북극의 바다얼음이 다시 형성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경우에도 해양 온난화로 인해 수백∼수천 년간 일부 빙하 손실이 지속될 것이지만 해수면 상승이 3m를 넘지는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