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선진국이 보상하라" 이집트 기후 총회…한국 책임은?

<앵커>

전 지구적 차원에서 기후변화 대책을 논의하는 유엔 기후변화 협약 총회가 조금 전 이집트에서 열렸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개발도상국의 피해와 이에 대한 선진국들의 책임 문제가 주요 쟁점인데, 우리나라의 역할은 어떤지, 장세만 환경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석 달간 쏟아진 폭우로 1천5백 명이 희생된 파키스탄, 여름철 강우량과 고산지대 빙하 해빙량 급증이 원인인데, 둘 다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 변화 영향이 큽니다.

수백 년 동안 선진국들이 내뿜은 온실가스가 가난한 나라에 재앙이 됐다는 겁니다.

[레흐만/파키스탄 기후변화 장관 (터키 TRT 방송) : 파키스탄이 배출한 온실가스는 전 세계 배출량의 1%도 못 미칠 만큼 지구 온난화에 책임이 없다. 그런데도 우리가 기후위기 최전선에 서게 됐다.]

전 세계에서 기후 변화 피해가 가장 컸던 10개 나라를 봐도, 남미와 아시아 등 온실가스 배출과는 거리가 먼 저개발국들입니다.

이번 27차 기후 총회에서도 이 문제가 쟁점입니다.

그간 오랜 줄다리기 끝에 저개발국의 피해가 공식 의제가 됐고, 이번 총회에서는 보상 재원을 마련할지를 논의합니다.

현재 국제 기후 협상 테이블에는 이해관계에 따라 여러 그룹이 있는데, 선진국의 보상 책임을 주장하는 개발도상국 진영의 의장국을 파키스탄이 맡고 있는 점도 이슈화 배경입니다.

[최재철/기후변화센터 공동대표 (전 기후변화 대사) : ('손실과 피해'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게 기금 조성이거든요. 그러면 이 기금을 어떤 형태로 출연할 거냐 그런 방식들이 다 논의가 되겠죠. 누가 출연할 거냐도.]

한국은 개도국도 선진국도 아닌 중간 그룹에 속해 있어서, 그동안 보상 문제에서는 한발 비켜서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유엔 무역개발회의에서 우리 요구로 한국의 지위가 선진국으로 올라선 반면, 또 한쪽에서는 석탄 발전을 고수해 기후 악당 논란에 휩싸인 상태라, 향후 보상 책임론이 불거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병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