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파월 "이르면 12월 금리 인상 속도 늦춰…인하 고려는 시기상조"

파월 "이르면 12월 금리 인상 속도 늦춰…인하 고려는 시기상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예상대로 오는 12월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금리인하 전환 고려는 "매우 시기상조"라며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면모도 동시에 나타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이날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줄일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며 "이르면 다음 (FOMC) 회의가 될 수도, 아니면 그다음 회의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준은 이날 사상 초유의 4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도 향후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의 여지를 열어놨습니다.

따라서 파월 의장의 언급은 이르면 12월 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 인상폭을 0.5%포인트 이하로 낮출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시장은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 등으로 이미 알려진 속도 조절 방침보다 파월 의장의 다른 발언들에 더 주목했습니다.

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지난 9월 FOMC 이후 발표된 각종 경제지표를 고려할 때 "최종금리 수준은 지난번 예상한 것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내년 기준금리가 9월 점도표(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나타낸 도표)에서 제시된 4.6%를 넘어 5%에 육박할 가능성을 시사한 겁니다.

특히 파월 의장은 "금리인상 중단에 대해 생각하거나 언급하는 것은 매우 시기상조"라면서 "우리는 갈 길이 멀다"며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를 오래 유지할 방침임을 확인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가 이미 경제성장을 둔화하는 '제약적 수준'에 진입했다는 점에서 "금리인상 속도에 관한 질문은 덜 중요해졌다"며 이제는 최종금리가 얼마나 될지, 높은 금리를 얼마나 오래 유지하느냐가 더욱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공격적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잡힐 때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면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면 "경제성장이 추세 이하로 내려가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경기둔화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물가상승률이 아직도 예상보다 높고 노동시장은 과열된 상태라고 진단한 뒤 "연준이 충분히 (통화정책을) 긴축하지 않았다면 정말 큰 어려움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금리인상 속도 조절을 시사하는 FOMC 성명이 나오자마자 상승 전환했던 뉴욕증시는 파월 의장의 회견 후 다시 반전해 1∼2%대 하락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10년물 미 국채 금리도 다시 4% 선을 넘어섰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