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세월호 언급하며 "정부 부담 요인에 관심 필요"

<앵커>

이 문건에는 정부가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한 경찰청의 의견도 담겼습니다. 세월호를 언급하며 정부에 부담이 될 만한 요인에 관심이 필요하다고 적었습니다.

계속해서 김학휘 기자입니다.

<기자>

정책 참고자료 첫 번째 주제는 정부 부담 요인에 관심 필요입니다.

향후 보상 문제가 지속적으로 이슈화될 소지가 있다며, 빠른 사고 수습을 위해 장례비와 치료비, 보상금과 관련한 갈등 관리가 필요하다고 적었습니다.

이를 위해 국민 애도 분위기 속 성금 모금을 검토하고 정부도 동참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지자체 실무자들 반응을 담았습니다.

지난 2014년 16명이 숨진 판교 환풍구 추락 사고 사례를 들며 보상 문제는 외부인 참여가 늘어날수록 협의가 어려워진다, 초기에 가족 대표를 정해 대화 창구를 단일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전했습니다.

경찰은 고위공직자의 부적절한 언행과 처신도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세월호 당시 여당 의원의 '교통사고 발언' 등이 이슈화되며 비난에 직면했다는 겁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 행적 논란처럼 "대통령 보고 시각, 지시 사항 등을 분·초 단위로 확인하며 집무실 이전에 따른 관저 문제와 연계해 미흡점을 찾으려는 시도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각 부처 브리핑 등에서 논란을 일으킬 내용이 포함되지 않도록 핵심 메시지만 간결하게 발표하라는 일종의 가이드라인도 제시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