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킨타나 "한국 유엔 인권 이사국 낙선, 문 정부 기조 영향 있어"

킨타나 "한국 유엔 인권 이사국 낙선, 문 정부 기조 영향 있어"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전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한국이 최근 유엔 인권이사국 연임에 실패한 배경에 문재인 정부 때 외교 정책의 영향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킨타나 전 보고관은 27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인터뷰에서 "(한국이) 인권이사회에서 자리를 잃는 것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나쁜 소식"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 인권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입장이 인권이사회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인권은 언제나 최우선 순위"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은 이달 초 치러진 유엔 차기 인권이사국(2023∼2025년) 선거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이사국 네자리를 놓고 방글라데시(160표), 몰디브(154표), 베트남(145표), 키르기스스탄(126표), 아프가니스탄(12표)과 겨뤘으나 5위(123표)로 낙선했습니다.

이를 두고 여권은 전 정부 때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 불참, 북한 어민 강제 북송 사건 등이 누적된 결과라고 비판했습니다.

킨타나 전 보고관은 윤석열 정부가 4년 만에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 참여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대해서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결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한은 협력을 위해 유엔 기구에 문호를 열고, 유엔은 이를 위한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며 "이런 여건 조성을 위해 유엔 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에 불참하거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에게 부여된 의무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부연했습니다.

킨타나 전 특별보고관은 2016년 8월부터 2022년 7월까지 6년간 제3대 유엔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으로 활동했습니다.

지난 8월부터는 엘리자베스 살몬 신임 특별보고관이 임무를 이어받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