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안중근 의사, 소나무관 안치돼 매장"…유해 찾기 단서될까

"안중근 의사, 소나무관 안치돼 매장"…유해 찾기 단서될까
안중근 의사의 유해가 소나무관에 안치돼 뤼순감옥 공동묘지에 묻혔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국 언론 보도가 공개됐습니다.

국가보훈처는 안 의사 유해의 행방과 장례 절차에 관해 보도한 중국 신문 기사를 안중근 의사 의거 113주년인 오늘(26일) 공개했습니다.

국가보훈처는 주상하이총영사관과 함께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에 필요한 입증 자료 수집을 위해 일제강점기 중국에서 발행된 신문 및 간행물 88종의 독립운동 관련 기사 3만 3천여 매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런 자료를 찾았습니다.

보훈처에 따르면 안 의사 순국 나흘 뒤인 1910년 3월 30일 자 만주지역 신문인 성경시보에는 안 의사의 둘째 동생인 안정근 지사가 안 의사 유해를 한국으로 옮겨 매장할 수 있도록 요청했으나 일본 당국이 거부했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당시 일본 당국은 "유해는 다른 사형수와 동일하게 감옥이 관리하는 사형수 공동묘지에 매장될 것"이라고 답변한 것으로 기록돼 있습니다.

중국에서 발행 된 당시 신문

이는 안 의사 유해가 당시 뤼순감옥 내 공동묘지에 매장됐을 것이라는 유력한 가설을 뒷받침합니다.

안 의사 유해 매장 추정지로는 중국 다롄의 뤼순감옥 묘지, 원보산지역과 그 지역 인근 중국 단독발굴지역 등 3곳이 꼽히고 있습니다.

뤼순감옥 묘지는 둥산포(동쪽산 언덕)로도 불리는데 당시 뤼순감옥 의무관과 현지 중국 역사 연구가 등이 매장 추정지로 지목했습니다.

2001년 1월 중국이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구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원보산 지역은 뤼순감옥 소장 딸인 이마이 후사코의 증언에 따라 2006년 6월 남북공동조사단 등이 매장 추정지로 지목해 2008년 3~4월 발굴을 했지만 유해를 찾지 못했습니다.

현재 이곳에는 아파트가 들어섰습니다.

중국은 뤼순감옥 박물관 주차장 경영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2008년 10월 원보산 인근 지역에서 단독 발굴 작업을 했으나 안 의사 유해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보훈처가 발굴해 오늘 공개한 중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안정근 지사는 안 의사와 친분이 있던 감옥 관리자에게 장례 절차를 도와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 관리자는 이에 "고심 끝에 파격적으로 하얼빈의 소나무로 만든 관에 유해를 안치하고 조선 풍속에 따라 관 위에 흰 천을 씌우도록 하고, 영구를 감옥 내의 교회당에 둔 후 우덕순 등 3명의 죄수들에게 조선 예법에 따라 두 번 절을 하게 하여 고별식을 치르도록" 허락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보훈처는 "그간 형무소 관계자의 회고록과 일본 정보보고서를 통해 추정한 안중근 의사 유해의 행방에 관한 정보를 보도한 만주 현지 기사를 처음으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습니다.

박민식 보훈처장은 "안중근 의사의 순국 관련 자료를 집중적으로 수집한 것을 계기로 유해 발굴이 하루라도 더 빨리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보훈처는 안 의사 유해 발굴을 위해 중국 정부와 지속해서 협의하고 있으며, 안 의사 유해의 정확한 매장 파악을 위해 관련국 주요 문서보관소에 관한 조사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진=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