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집값 더는 못 견뎌…서울 사는 집 2030년부터 감소

집값 더는 못 견뎌…서울 사는 집 2030년부터 감소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가 2030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섭니다.

경기 지역은 수도권 집중과 탈 서울 행렬이 맞물리면서 가구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납니다.

2050년에는 가구주 중위연령이 65세까지 올라갑니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0~2050년 장래가구추계(시도편)'를 오늘(20일) 발표했습니다.

통계청은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총가구 수를 2천73만1천 가구로 추산했습니다.

총가구 수는 2039년 2천387만 가구로 정점을 기록한 후 2050년에 2천284만9천 가구로 다소 줄어드는 그림을 그립니다.

서울의 가구 수는 2020년 기준 395만3천 가구입니다.

2029년 412만6천 가구로 정점을 찍고 2050년에는 379만9천 가구(2020년 대비 -3.9%)로 줄어듭니다.

반면 경기는 2020년 503만4천 가구에서 2044년 670만2천 가구를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 2050년에는 658만2천 가구(2020년 대비 30.7% 증가)를 기록합니다.

서울에서 거주하는 가구 수가 7년 뒤(2029년)에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는 반면, 경기는 정점을 찍는 시점도 늦고 30년간 상당폭 증가율을 기록합니다.

부산과 대구 역시 쇠락하는 도시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2050년까지 가구 증감률이 부산은 -10.6%(2028년 정점), 대구(2028년 정점)는 -9.4%입니다.

같은 기간 세종은 증가율이 121.6%에 달할 만큼 빠른 속도로 성장합니다.

수도권 거주 가구의 비중이 늘지만 서울에선 이탈 인구가 늘어 경기 지역의 인구 비중이 점차 커지는 구조입니다.

전반적인 인구 감소 상황과 맞물리면서 평균 가구원 수도 점차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2020년 평균 2.37명이던 가구원 수는 점차 감소해 2050년에 1.91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습니다.

평균 가구원 수가 2명에 미달하는 시기는 2038년(1.99명)입니다.

고령화 여파로 여성 가구주의 비중은 점차 늘어납니다.

통계청은 2050년 기준 여자 가구주 비중이 모든 시도에서 30%를 초과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울·세종·부산 등 11개 시도에서는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가구주의 중위연령도 올라갑니다.

2020년 52.6세에서 2050년 64.9세로 12.3세 높아집니다.

전남(70.0세)·경북(69.9세)·강원(69.0세) 등 10개 시도는 65세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의 비중은 점차 줄어듭니다.

2020년 기준 가구주의 혼인상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60.7%), 미혼(19.6%), 사별(10.1%), 이혼(9.6%) 순이었으나 2050년에는 가구주의 배우자가 있는 경우(45.3%), 미혼(29.6%), 이혼(14.0%), 사별(11.1%) 등 순으로 변화합니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주의 비중이 크게 줄고 이혼이 사별을 넘어서게 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