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입자 1천500만 넘은 국민비서 '구삐'…카톡 알림 비중이 25%

가입자 1천500만 넘은 국민비서 '구삐'…카톡 알림 비중이 25%
민간 앱으로 국민에게 행정서비스를 알리는 국민비서 '구삐' 가입자가 1천500만 명을 돌파한 가운데 카카오톡 먹통 사태를 계기로 민간에 의존하는 공공 서비스의 안전성에 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1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13일 가입자 1천500만 명을 돌파해 국민 4명 중 1명 이상이 사용하게 된 구삐 알림의 25%가량은 카카오톡으로 전달되고 있습니다.

구삐는 건강검진일, 운전면허 갱신기간, 교통과태료 등 생활정보 27종을 제공하며,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백신 접종 예약, 재택치료 알림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삐는 카카오톡 외에도 금융앱 등 국민이 자주 사용하는 모바일 앱 7종을 활용하고 있지만, 지난해 3월 구삐 서비스 출시와 함께 활용된 카톡, 네이버앱, 토스앱의 이용량이 많은 편입니다.

이에 따라 필수 행정서비스가 국민 편의성을 이유로 민간 영역에 과하게 의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용자 1명 당) 두 가지 이상의 앱으로 알림을 보내게 돼 있어 한 가지 앱에 장애가 발생해도 문제가 없다"고 말했지만, 이번 사태처럼 두 곳 이상의 기업들이 함께 사용하는 데이터 센터에 문제가 생길 경우 속수무책입니다.

구삐는 정부 서비스가 초연결 플랫폼을 타고 물 흐르듯 흐르도록 한다는 취지의 윤석열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초기 모습이기도 합니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정부의 모든 데이터를 하나로 연결해 일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예컨대 정부 사이트별로 개별 제공되던 서비스를 한 곳에서 통합 제공하고 국민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며, 공공데이터는 민간에 개방합니다.

정부가 독점 공급자로서 일방적으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재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과 협업하는 국정운영 모델로, 민간 플랫폼으로 정부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구삐의 업그레이드 형태가 될 전망입니다.

정부는 이 과정에서 카카오와 네이버 등 민간 기업의 인프라와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정부가 자체 플랫폼을 구축해 서비스를 제공할지, 구삐처럼 민간 앱에 업혀 갈지에 관한 구체적인 로드맵은 내년 3월 발표될 예정입니다.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형태는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지만, 확실한 건 자연재해와 해킹 등에 대비해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하려면 서버를 이원화, 다원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