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업 확장에 본업은 뒷전…카카오 '운영 관리' 비판

<앵커>

지난 주말부터 시작된 카카오톡의 서비스 장애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가 주원인이지만 카카오의 운영 관리도 주먹구구식 수준이었다는 게 이번 사태를 통해 드러났습니다.

한상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번 사태에 대해 카카오가 내놓은 해명은 데이터센터에 불이 나는 정도의 사건은 예상 못 했다는 겁니다.

[양현서/카카오 부사장 : 화재가 나서 서버 전체가 내려가는 이런 부분까지는 조금 대비가 부족했던 게 아닌가….]

사실 카카오는 이미 10년 전 비슷한 일을 겪었습니다.

2012년 4월 구로 데이터 센터에 전원 공급 문제로 서비스가 4시간 동안 멈췄는데, 당시 내놓은 대책이 이중화 조치입니다.

같은 데이터를 여러 개 만들어 분산 저장, 운영하면서 이번 같은 사고가 나면 서비스에 지장 없게 만드는 방식입니다.

그럼에도, 이번에 문제가 더 심각한 데 대해 카카오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양현서/카카오 부사장 : 저희가 '이중화 조치'가 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버를 증설하여 그다음에 트래픽을 전환하는 데 꽤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어요.]

물리적 시스템은 갖췄지만 제대로 운용을 못 했다는 건데, 전문가들은 사실상 실패를 인정한 거라고 평가합니다.

[권헌영/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능력이 없다는 게 입증됐기 때문에 그 얘기는 뭐라고 변명해도 소용이 없어요. 플랜(계획)도 안 돼 있고, 사고 대응 매뉴얼도 잘못돼 있고, (계획) 그대로 집행이 안 됐을 가능성이 높아요.]

반면, 같은 건물에 서버를 둔 네이버는 일부 서비스 장애가 있었지만, 전방위로 발생하지 않았고 당일 복구됐습니다.

카카오가 은행에서 택시, 대리운전까지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본업인 플랫폼과 데이터 관리는 뒷전이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