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극단적 선택 마지막 생명의 끈인데…1/3이 '먹통'

<앵커>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마지막 끈을 놓지 않도록 도와주는 자살예방 상담전화가 있습니다. 그런데 전화를 건 사람들의 3분의 1이 상담원과 통화 연결조차 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박세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우울증이 심해져 안 좋은 생각이 들 때마다 정부의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으로 전화를 걸었다는 A 씨.

올해 초부터 한 달에 한 번꼴로 전화했는데, 상담원과 연결된 적이 없다고 합니다.

[A 씨 : 내가 주체를 못할 때는 이러다가는 진짜 누가 한 마디 안 해주면 죽겠구나 싶을 때도 있었던 것 같아요.]

이달 초엔 한강 다리에까지 갔던 A 씨.

이번에도 1393 전화는 연결되지 않았고, 다리에 설치된 민간 재단이 운영하는 '생명의 전화' 상담원과 통화하면서 가까스로 마음을 돌렸습니다.

[A 씨 : 만약에 생명의 전화가 없었다면 진짜 극단적인 선택을 했을 수 있다고 생각을 해요.]

지난해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1만 3천여 명으로 전년 대비 1.2% 늘었습니다.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으로 걸려 온 전화는 10만 3천여 건.

하지만, A 씨처럼 상담원 연결조차 되지 않은 게 3만 4천여 건으로 33.5%에 달했습니다.

1393 전체 상담사는 54명인데, 24시간 교대 근무라 한 근무조에 편성된 상담사가 10여 명에 불과합니다.

이들이 전국에서 걸려오는 모든 전화를 받다 보니 응대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B 씨/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상담사 : 저희도 상담을 하다 보면 '저희 기관이 받지 않는다'에 대한 불만을 많이 호소하세요. 사실 저희도 좀 뭔가 속상하고 답답하거든요.]

복지부는 SBS 취재진에 올해 안에 상담사를 충원해 80명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살려달라'는 간절한 외침을 놓치지 않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