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크렘린 "흑해 튀르크스트림 가스관 폭파 시도한 공작요원 체포" 발표

크렘린 "흑해 튀르크스트림 가스관 폭파 시도한 공작요원 체포" 발표
러시아 당국이 흑해 해저를 통해 러시아와 튀르키예를 연결하는 '튀르크스트림' 가스관 파괴를 시도한 사보타주 요원들을 체포했다고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이 13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페스코프 대변인은 이날 "공작 요원 몇 명이 체포됐다"면서 "이들이 러시아 영토 내륙에서 가스관을 폭파하려 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그러나 해당 사건과 관련한 더 이상의 상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카자흐스탄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우크라이나가 튀르크스트림 구간 일부를 폭파하려 시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 흑해를 통해 튀르키예와 남부 유럽을 잇는 튀르크스트림 가스관이 러시아 가스 수송을 위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경로라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러시아 천연가스의 주요 수출로 가운데 하나인 튀르크스트림은 러시아 남부에서 흑해 해저를 경유해 튀르키예 북서부 지역으로 연결되는 길이 1천100km의 2개 라인 가스관으로, 2020년 1월부터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1개 라인은 터키 공급용, 다른 1개 라인은 남부 및 남동부 유럽 국가 공급용으로 전체 수송 용량은 연 315억㎥입니다.

우크라이나 사태 와중에 발트해 해저를 통해 러시아 북서부와 독일을 연결하는 '노르트스트림' 가스관을 이용한 러시아 가스의 유럽 공급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튀르크스트림 가스관의 중요성이 커진 상태입니다.

러시아는 그동안 서방의 지원을 받는 우크라이나 보안국이 사보타주 요원을 동원해 러시아의 석유·가스 수출 시설들에 테러 공격을 가하려 한다는 주장을 지속해서 제기해 왔습니다.

러시아는 지난달 말 발트해를 통해 유럽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노르트스트림-1·2'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도 미국, 폴란드, 우크라이나 등이 개입된 테러 공격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서방 측 관련국인 스웨덴과 덴마크, 독일은 국제 수사그룹을 구성해 사고 조사를 벌이고 있으나, 러시아는 조사에 자국이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자체 조사도 벌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터키스트림 프로젝트 웹사이트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