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건설노동자들, 대거 도주하는 이유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건설노동자들, 대거 도주하는 이유
러시아로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이 전쟁이 치열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으로 보내질 수 있다는 소식에 대거 도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영국 데일리메일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이 매체는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을 인용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와중에 목숨을 잃을 것을 두려워한 일단의 북한 노동자들이 일터를 벗어나 몸을 숨기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익명의 소식통은 RFA 방송에 "노동자들이 우크라이나의 새 건설 현장으로 보내진다는 소식에 많이 도망쳤다"면서 "건설 노동자뿐 아니라 (이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들도 도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 지역에선 심각한 전쟁 피해로 재건 수요가 높아 북한 노동자들과 같은 값싸고 숙련된 노동력이 절실합니다.

하지만 유엔의 대북 제재로 인해 북한 노동자의 공식 해외 파견은 여전히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2017년 채택한 대북 제재 결의 2397호는 회원국이 2019년 12월 22일까지 자국 내 모든 북한 노동자들을 송환하도록 요구했고 이에 따라 러시아도 자국 내에서 일하던 약 3만 명의 북한 노동자들을 본국으로 돌려보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일부 노동자들은 유학생 등으로 등록하는 편법을 활용해 계속 현지에 체류하며 일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RFA 등의 보도는 이들 중 일부가 우크라이나 전장으로 재파견될 것을 우려해 도주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북한은 지난 7월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친러시아 성향의 분리주의자들이 선포한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을 신속히 승인한 뒤, 전쟁 피해를 입은 이들 공화국 재건사업에 자국 노동자들을 참여시키는 방안을 협상하고 있습니다.

로디온 미로슈니크 러시아 주재 LPR 대사는 지난 8월 중순 "신홍철 주러 북한 대사와 만나 북한 건설 노동자들을 재건사업에 투입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는 북한 노동자 투입이 유엔의 대북제재 위반이라는 입장을 표시했습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DPR과 LPR의 독립을 승인한 나라는 러시아 외에 시리아와 북한뿐입니다.

(사진=리아노보스티,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